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기동향

다시 고개 드는 인플레…투자은행 韓 물가상승률 2.4% 전망

한은, 지난 8월 내년 물가상승률 3.5% 전망…이달말 수정 경제전망서 조정 가능성↑
금융연구원, 금리인하시기 내년 6월 이후 전망

외국계 투자은행의 한국 물가상승률 전망/국제금융센터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 중동지역 불안으로 국제유가가 들썩이며 물가가 다시 오르고 있다. 외국계 투자은행들은 내년 우리나라의 물가가 전년 대비 2.4%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한달 전보다 0.2%포인트(p) 높은 수준이다. 물가의 둔화시기가 더뎌 질수록 금리인하 시기도 늦춰질 가능성이 커 이달 말 발표하는 한국은행의 물가 전망에도 관심이 쏠린다.

 

7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외국계 투자은행(IB)이 전망한 내년 한국 소비자물가상승률은 평균 2.4%로 집계됐다. 한달 전 발표한 전망치 2.2%보다 0.2%p 높은 수준이다. 투자은행은 바클레이즈,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 씨티, 골드만삭스, JB모건, 홍콩상하이은행(HSBS), 노무라, UBS 등 8곳이다.

 

노무라증권은 물가상승률을 1.7%에서 2.3%로 0.6%p, 홍콩상하이은행(HSBS)은 2.1%에서 2.5%로 0.4%p 올렸다. 평균치보다 낮은 전망치를 내놓은 투자은행은 노무라증권·UBS(2.3%)과 JP모건(2.2%) 등 3곳이다.

 

투자은행이 물가상승률을 높인 이유는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 중동지역 불안으로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날 기준 두바이유 가격은 배럴당 86.89달러로 올해 들어 가장 낮았던 3월 20일 70.31달러와 비교해 16.58달러 올랐다. 지난 9월 96.75달러까지 오른 뒤 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높다.

 

두바이유 가격/한국석유공사
2023년 소비자물가상승률/통계청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한은도 이달 말 발표하는 수정 경제전망에서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조정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한은은 지난 8월 올해 물가상승률을 3.5%, 내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2.4%로 내다봤다. 당시 물가전망치에 반영된 국제유가가 84달러인 만큼 인상분을 추가해 물가상승률이 오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말 국정감사에서 "이스라엘-하마스 사태로 인한 국제유가, 환율 등의 변동성이 확대돼 향후 물가경로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전에는 연말까지 물가상승률이 3% 수준으로 내려오고, 내년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번 사태로 물가가 더 올라갈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경제전망보고서(8월): 성장 및 물가 영향 대안적 시나리오/한국은행

당시 내놓은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내년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2.5% 이상이 될 확률이 크다.

 

한은은 지난 8월 대안적 시나리오를 통해 지정학적 리스크, 이상기후 등으로 원자재가격이 추가 상승할 경우 2024년 물가가 0.1%p 추가상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이 같은 예상은 올해 물가상승률이 3.5% 전망치를 벗어나지 않았을 경우다. 현재 물가상승률은 10월 기준 평균 3.6%(상반기 4.0%·하반기 3.3%)로 전망치를 0.1%p 벗어난 상태다. 0.1~0.2% 이상 변동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전망치가 오르면 금리인하 시점이 늦춰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박춘성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은 "물가상승률은 점진적으로 하락하겠지만, 지정학적 위험이 지속되고 원자재 가격의 불확실성이 증가해 물가목표를 상당폭 상회할 것"이라며 "금리인하의 최우선 조건은 물가안정인 만큼, 내년 6월 이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