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삼성 등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 196.6%…작년말比 9%↑

-2023년 6월 말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
-삼성, 한화, 교보, 미래에셋, 현대차, DB, 다우키움 등 7개 기업집단

/금융감독원

올 상반기 삼성 등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삼성, 한화, 교보, 미래에셋, 현대차, DB, 다우키움 등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196.6%다. 전년 말 대비 9.0%포인트(p) 상승했다.

 

자기자본은 176조5000억원으로 2022년 말(121조1000억원) 대비 55조4000억원 증가했다. 보험권이 지급여력비율(K-ICS)을 도입하면서 보험계열 기업집단의 보험계약마진(CSM) 가용자본 인정과 보험부채 시가평가 등으로 통합자기자본이 늘었다.

 

필요자본은 전년 말 대비 25조2000억원 증가한 89조8000억원이다. K-ICS로 보험계열 기업집단의 신규 보험위험이 추가됐고, 주식위험 증가에 따른 시장리스크도 늘면서 통합필요자본이 많아졌다.

 

/금융감독원

자본적정성 비율을 전년 말과 비교하면 교보(69.6%p)와 DB(46.1%p), 한화(22.4%p), 미래에셋(9.9%p) 등은 상승했다. 반면 삼성(-13.3%p)과 다우키움(-5.1%p), 현대차(-3.1%p) 등은 하락했다.

 

금융복합기업집단별로는 교보가 244.1%로 가장 높았고 ▲삼성(216.7%) ▲다우키움(216.0%) ▲DB(212.0%) ▲한화(171.2%) ▲현대차(159.5%) ▲미래에셋(156.7%) 등의 순이다. 모두 규제비율인 100%는 웃돌았다. 다만 교보의 경우 K-ICS 경과조치를 반영하기 전 기준으로는 167.1%다.

 

금감원은 "하반기 통화긴축 지속에 따른 금리·환율 변동성 확대와 IFRS17 계리적 가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적용 등으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실적 변동성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금융복합기업집단별 모니터링을 면밀히 하고, 목표 자본비율 관리 등 기업집단 차원의 리스크 관리 강화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