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삼성전자, AI 포럼서 첫 생성형 AI '가우스' 공개…대화·코딩·디자인까지

삼성 AI 포럼

삼성전자가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공개했다. 갤럭시 스마트폰을 비롯한 차세대 기기에 탑재돼 편의성을 대폭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8일 서울 R&D 캠퍼스에서 '삼성 AI 포럼 2023' 두번째 날 행사를 이어갔다.

 

삼성 AI포럼은 삼성 SAIT(구 종합기술원)와 삼성리서치가 주관하는 행사로, 전세계 전문가들을 초청해 AI 핵심 기술 발전 방향과 혁신을 논의하는 자리다.

 

비공개로 개최된 이날 행사는 삼성전자와 전세계 AI 전문가 150여명이 참여해 기술을 교류하고 발전 방향과 혁신을 논의했다. 생성형 AI 기술이 어떻게 삶을 변화할지에도 고민했다.

 

특히 삼성리서치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모델인 '삼성 가우스'를 처음 공개했다. 천재 수학자 '프리드리히 가우스'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생성형 AI의 무한한 가능성을 추구한다는 의미로 명명했다.

 

삼성 가우스는 머신 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꼭 필요한 3가지 모델로 구성했다. ▲텍스트를 생성하는 언어 모델(Samsung Gauss Language)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모델(Samsung Gauss Code)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모델(Samsung Gauss Image) 등이다.

 

오픈AI 제이슨 웨이(Jason Wei) 연구원이 대규모 언어 모델 르네상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강연하는 모습.

각 모델은 챗GPT와 같이 언어를 이해해 메일을 작성하거나 문서를 요약하는 등 업무를 빠르게 처리하는 것은 물론, 대화형 인터페이스로도 개발자들이 쉽고 빠르게 코딩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이미지도 간단한 작업으로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바꿔준다.

 

특히 가우스는 오프라인에서도 자체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온디바이스 AI' 기술도 적용했다. 개인정보를 지키면서도 기기를 제어하고 문장을 요약하는 등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삼성은 가우스를 활용해 사내 업무를 대폭 혁신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다양한 제품에 단계적으로 탑재하며 하이브리드 AI를 활용해 소비자들에 새로운 경험을 선사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삼성 AI포럼에서는 오픈AI 제이슨 웨이 연구원과 정형원 연구원을 비롯해 고려대 서홍석 교수와 서울대 항승원 교수 연구실 등에서 다양한 생성형 AI 현황과 연구 방향을 공유했다.

 

대규모 언어 모델로 인한 패러다임 변화와 발전 방향, 멀티모달 대화형 AI와 언어모델 평가 방법 등 생성형 AI와 관련한 이슈와 활용 및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주제를 고민했다.

 

삼성리서치 글로벌AI센터 김대현 부센터장(부사장)은 환영사를 통해 "생성형 AI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업계와 학계 리더들과 협력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생성형 AI에 대한 지속적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경험 가치를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