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김장 물가 하락세에도 포장김치 업계만 '방긋'

재래시장에 진열된 김치/유토이미지

"김장 꼭 해야 하나요? 남편도 집에서 저녁 한끼만 먹고, 회사원인 딸에 대학생인 아들까지 자취를 시작하면서 직접 담그기 보다 포장 김치를 사먹게 되더라고요. 김치를 많이 할 게 아니다보니 사서 먹는게 가격적인 면에서 좀 더 합리적인 거 같고, 힘들이지 않아도 되니까 오히려 좋던데요."

 

인천에 거주하는 주부 A(55세)씨는 올해 김장 계획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이처럼 김장을 포기하는 일명 '김포족'이 해마다 늘고 있다.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하 농경연)이 소비자 600명을 대상으로 '김장철 채소류 소비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보다 김장 배추를 구매하겠다는 소비자가 줄었다.

 

응답자 59%는 전년과 비슷하게 김장을 담글 것이라고 답했고, 27.8%는 전년보다 적게 담글 것이라고 밝혔다. 구매를 원하는 배추는 19.9포기(4인 가족 기준)로 전년 21.8포기보다 줄었다.

 

1~2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가 늘고 편의성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김포족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식품산업통계정보(FIS)의 올해 3월 발간한 '김치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소비자 가구의 김치 조달 방법 가운데 상품김치를 구입하는 비중은 2017년 10.5%에서 2020년 31.3%로 확대되고 있다.

 

게다가 올해 고물가 기조가 이어지면서 최근까지 배추 도매가격이 오름세를 보인 것이 김포족 증가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5일 서울시내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김장재료를 구매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는 김장을 포기하는 이들이 늘어날 것을 예상해 농수산물 가격 안정화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그 결과 올해 김장비용(배추 20포기 기준)은 21만8425원으로 1년 전보다 9.4% 하락했다.

 

해당 조사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주요 김장재료 14개 품목에 대해 전국 16개 전통시장과 34개 대형유통업체에서 실시한 결과다.

 

품목별로 보면 최근 가격 상승세를 보였던 김장 주재료인 배추 소매가격은 1년 전보다 13.8% 내려갔다. 배추 가격은 정부 비축 물량 공급 등의 영향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출하 지역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확대되면서 공급량이 증가하고 있어 가격은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무는 전년보다 45.1% 하락했다. 부재료인 깐마늘과 양파도 각각 32%, 25.7% 저렴하다. 새우젓과 멸치액젓은 지난해보다 각각 11.5%, 5% 하락했다. 반면 고춧가루(0.8%), 대파(13.9%), 생강(9.9%), 배(11.5%), 소금(14.6%) 등은 가격이 올랐다.

 

주재료가 저렴하더라도 양념 재료들이 비싸다보니 소비자에게는 가격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재료를 사다가 배추를 절이는 것부터 각종 양념소를 만들어 버무리는 일까지 시간과 힘을 들이기 보다 포장 김치를 사먹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며 "특히 1~2인 가구가 많다보니 김치를 많이 하지 않는다. 그때그때 포장 김치를 구매하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5일 서울시내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김장재료를 구매하고 있다./뉴시스

포장김치 매출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포장김치업계 1위 대상 종가 김치의 올해 10월 누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3% 신장했다.

 

온라인에서도 포장김치가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마켓컬리에서는 10월23일부터 11월5일까지 2주간 포장김치 완제품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50% 늘어났으며, 전월보다 70% 가량 늘었다.

 

G마켓도 이달 1~8일 포기김치와 총각김치, 깍두기 판매량이 전년동기대비 각각 22%, 15%, 30%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유통업계는 장바구니 물가를 덜기 위해 김장대전에 나섰다.

 

이마트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업해 오는 16일까지 배추 1망(3포기)을 2850원에 판매하는 '2023 김장대전'을 진행한다. 1포기 950원이라는 10년 전과 동일한 가격으로 장바구니 물가 안정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다. 온라인몰인 SSG닷컴에서도 오는 15일까지 '김장대전'을 열고 절임배추 판매한다. 티몬도 12월 10일까지 김장 기획전을 통해 각종 김장 재료부터 곁들임 음식, 포장김치까지 한데 모아 특가에 선보인다.

 

롯데마트?슈퍼의 경우 지난 10월부터 절임배추 사전 예약 판매를 진행했으며, 사전 예약 매출이 지난해 행사 때보다 3배가량 상승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