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2차전지 롤러코스터 재운행...개미들의 운명은?

공매도 한시적 중단 결정으로 '반짝' 상승했던 2차전지주들이 하루만에 급등락을 반복하며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이고 있다. 전기차 수요 둔화 등 불확실한 업황과 실적 부진 등으로 인해 증권가에서도 기대감을 낮추면서 개인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고조되는 모습이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 한시적 중지가 시작됐던 지난주에 에코프로의 주가는 6일에는 상한가, 7일에는 3.74% 올랐다가 8일부터는 하락세를 타면서 마지막 거래일이었던 10일까지 20.25% 떨어졌다. 에코프로비엠,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퓨처엠 등도 6일에는 폭등했지만 7일부터는 일제히 하락하면서 각각 22.07%, 16.71%, 20.74%씩 급락했다.

 

앞서 공매도가 2차전지주에 몰리자 일부 개인 투자자들은 공매도 세력으로 인해 2차전지주가 약세를 보이는 것이라고 불만을 호소했었다. 특히 에코프로는 상반기 개미(개인 투자자)들의 맹목적인 지지를 받으면서 고평가 논란에도 황제주에 등극한 바 있다. 지난 7월 26일 당시 장중 최고 153만9000원까지 터치했으며, 종가 기준으로는 122만8000원에 마무리했다. 하지만 이후 전기차 수요 둔화 등으로 인해 하락세를 이어갔고, 공매도 물량이 몰리면서 하방 압력이 작용했다는 의견이 늘었었다.

 

공매도 전면 중지 이후에도 관심은 에코프로에 집중되고 있다. 이번 급락세 역시 타 2차전지 종목은 지난 7일부터 시작됐지만, 에코프로는 7일까지 상승세를 유지했다. 다만 개미들의 하락 방어 의지에도 고평가 논란은 유지되면서 주가는 끊임없이 흔들리고 있다. 더불어 외국인들의 순매도가 이어지면서 주가가 힘을 못 받는 것으로 풀이된다. 11월에 들어서 기관과 개인은 에코프로를 각각 65억원, 868억원씩 순매수했다. 반면, 외국인은 1063억원을 팔아치웠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외국인은 개인과 정반대로 여전히 반도체 'Long'(매수), 2차전지 'Short'(매도)를 고수하는 중"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A 증권사의 한 애널리스트는 에코프로의 목표가를 현재 주가보다 현저히 낮은 42만원으로 하향 조정하는 사실상 매도 리포트를 내면서 투자자들의 눈총을 받았다. 2차전지 투자자 위주로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 '박순현을 지키는 모임' 회원 일부는 해당 애널리스트의 출근길을 쫓아가 비난하기도 했다. 그들은 연구원을 가로 막고 "돈 얼마 받았냐", "매국노" 등의 언어적·물리적인 공격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2차전지 업황의 전망도 밝지 않아 개미들의 불안감은 더욱 고조될 것으로 보여진다. 유민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2차전지 산업은 침투율 상승과 보조금 정책 한계로 인해 세계 전기차 수요성장 둔화가 시작됐다"며 "중국 배터리산업의 공급과잉으로 밸류체인 전체적인 수익성 하락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올해 상반기까지 강세를 보이던 국내 2차전지 관련 기업들의 주가는 8월을 정점으로 약세로 전환됐고, 주가 하락의 이유는 성장 둔화"라며 "향후 2~3년간 2차전지 밸류체인 전반에서 공급과잉에 따른 경쟁심화로 수익성 하락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