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증권사, 부동산 관련 부서 정리 들어가나...구조조정 칼바람

/유토이미지

고금리 장기화의 여파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지속됨에 따라 일부 증권사에서 관련 부서를 대폭 축소하는 등 조직 개편에 나섰다. 연말 인사 시즌을 앞둔 만큼 구조조정 '칼바람'도 예상되고 있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하이투자증권은 인사위원회와 이사회를 거쳐 김진영 투자금융총괄 사장을 포함한 2명을 면직시키는 등 중징계 처분을 확정해 통보했다. 김 사장은 부동산 호황기에 하이투자증권의 부동산 PF 전담팀을 이끌었던 장본인이다. 2018년부터 꾸준히 증권사 연봉 상위권에 올랐으며, 지난해에는 65억원의 '연봉킹'으로 꼽히기도 했다. 하지만 하이투자증권은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부동산금융 부문을 축소시키고 리스크 관리 강화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2020년 기준으로 하이투자증권의 자기자본 대비 우발채무(익스포저) 비율은 136.8%에 달한다. 올해 3분기 80.2%까지 감소하기는 했지만 3분기 우발채무 1조1203억원 중 부동산 부문이 9512억원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징계성 개편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지난달 미래에셋증권도 조직 개편을 통해 기존 7개였던 부동산 사업부를 4개 본부로 줄였다. 미래에셋증권은 올해 3분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5.5% 늘어난 1731억원을 기록했지만, 해외 부동산 PF 충당금 등이 반영되면서 당기순이익(768억원)은 전년 동기보다 29.8% 줄어들었다.

 

시장에서는 미래에셋증권과 하이투자증권을 시작으로 비슷한 조직 개편 흐름이 확대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부동산 침체기인 만큼 그런 부분의 리스크 관리를 하고자 하면 증권사 내 부동산 중심 조직 개편이 더 나올 수 있다"면서 "각사별로 리스크 관리를 어떻게 해 왔냐에 따라 타격감의 정도는 다르기 때문에 움직임도 차이를 보일 수는 있다"고 말했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부동산 시장이 안 좋은 만큼 증권사의 재무 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본다면 관련 부서를 축소시키는 흐름이 이어질 개연성도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리스크 관리 부분에서 증권사들의 희비가 갈렸던 부분이 있지만, 리스크 관리만 해결된다면 여전히 증권사가 포지션을 가지고 갈 수 있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증권사 부동산 PF 위험노출액은 28조4000억원이며, 연체율은 17.28%에 달한다. 동일 기간 고정이하자산(부실자산 분류) 규모는 3조7494억원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년 동기 2조4401억원보다 53.7% 증가한 규모다. 자본시장연구원의 최근 보고서에도 2023년 들어 자금시장 여건이 완화되고 있지만, 고금리 및 부동산 침체가 지속될 가능성을 대비해야 한다며 여전한 위험성을 당부하고 있다. 특히 공사 및 입주, 그리고 PF 상환 완료 이후에 위험이 해소되는 부동산 PF의 특성을 고려한 임직원 성과보수체계 설계나 심사부서의 요건 정비 등 부동산PF 관련 내부통제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반면, 한 업계 관계자는 "미래에셋증권이나 하이투자증권 같은 경우에는 부동산 PF 관련 이슈가 크게 있었고, 임직원이 면직되는 등 특이 케이스에 속한다"며 "부동산 시장이 재작년처럼 좋아지지는 않더라도 기존 사업들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조직을 전반적으로 개편하는 상황은 별로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