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창사 이래 최대 위기 카카오…경영쇄신 될까 칼바람 불까

김범수 카카오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SM엔터테인먼트 주가 시세 조종 의혹과 관련해 지난달 서울 금융감독원으로 출석하고 있다./뉴시스

창립이래 최대 위기에 봉착한 카카오가 경영 쇄신안을 내놓은 가운데 반등의 신호탄인지를 두고는 의견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최근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은 모든 사업을 원점 재검토 하겠다고 밝히면서 경영진 교체 카드를 꺼내들 전망이다. 다만, 시세조종 의혹으로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가 구속된 데 이어 계열사 독과점 논란 등 겹악재에 휩싸이면서 우려의 시선도 커지고 있다.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2부(부장검사 박건영)는 지난 13일 배 대표를 구속 기소했다. 카카오 법인도 함께 기소했다. 배 대표는 지난 2월 SM에 대한 기업지배권 경쟁에서 경쟁사인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할 목적으로 사모펀드 운용사 원아시아파트너스와 공모해 총 2400억여원을 투입해 SM 주가를 공개매수 가격인 12만원 이상으로 상승·고정시키려 시세조종을 한 혐의를 받는다. 이와 함께 관련된 대량 보유 보고의무(5%룰)를 이행하지 않은 혐의도 있다.

 

여기에 카카오가 인수합병을 통해 문어발식으로 사업을 확장했다는 논란이 커지면서 공정거래위원회도 제동에 나섰다. 공정위는 전일 기업결합 심사방식을 현대화하는 내용의 '기업결합 심사기준' 개정안을 발표했다. 무분별한 플랫폼의 몸집 불리기를 막기 위해 플랫폼의 특성을 고려한 기업결합 심사기준을 마련한 것.

 

류긍선(왼쪽 두번째) 카카오모빌리티 대표가 지난 13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역삼동 전국택시연합회관에서 택시4단체(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 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대표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하고 있다./뉴시스

카카오모빌리티의 독과점 논란이 집중 조명되면서 수수료 개편의 물론 기업공개(IPO) 계획도 무산될 전망이다. 최근 카카오모빌리티눈 가맹 택시의 수수료를 5%에서 3% 이하로 낮추는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은데 이어 배차시스템의 개편을 예고했다.

 

이에 카카오 경영진은 현 상황을 '비상 경영 단계'로 인식하고 지난달 30일부터 매주 월요일 회의를 열고 쇄신 작업에 착수했다.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은 전날 제3차 공동체 비상경영회의에 참석하면서 "모든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 국민 눈높이에 부응하겠다"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와 택시 4단체는 협의체를 구성해 오는 12월 31일까지 ▲가맹택시 사업 구조 변경 ▲수수료 수준 현실화 ▲택시 배차 문제 개선 등 3가지 쟁점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카카오는 외부 감사기구인 준법과 신뢰위원회'(준법위) 1기 위원 명단을 이날 공개했다. 위원회의 의견을 바탕으로 주요 경영 내용에 대한 점검을 받는다는 목표다. 카카오는 이날 위원회는 김소영 위원장을 포함해 7인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위원회는 카카오와 독립된 외부 조직으로 설립되며, 관계사의 준법감시 및 내부통제 체계를 일신할 수 있는 강력한 집행기구 역할을 하게 된다.

 

문제는 수수료가 3% 이하로 떨어지면 회사의 핵심 사업인 택시 부분의 수익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카카오모빌리티의 IPO까지 무기한 연기되며 증권가에서는 카카오의 눈높이를 줄줄이 하향하고 있다.

 

카카오 주가는 올해 들어 12.71% 하락했다. 시가총액은 지난해 26조500억원에서 현재 20조6000억원 수준으로 축소되면서 코스피 시가총액 순위는 16위로 밀렸다.

 

다만 겹악재 속에서도 카카오의 올해 3분기 성적은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다. 카카오의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40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조1609억원으로 16.3% 증가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이승훈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카카오의 3분기 영업이익은 컨센서스(시장 전망치)를 상회했다”며 “외형은 콘텐츠 부문이 전년 동기 대비 29.8% 증가하면서 전체 성장을 견인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사법적 리스크로 주가가 급락했고 현재 사업구조가 유지되는 상황에서는 내년 이익이 빠르게 개선될 수 있어 투자의견는 매수를 유지한다”고 분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