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서용환 작가, '고레스 대왕, 페르시아 이야기'서 인권·자유의 가치 되새겨

휴앤스토리 제공

'고레스 대왕, 페르시아 이야기'(저자 서용환)는 성경책에서 만난 고레스 대왕에게 느낀 감동에서 출발했다.

 

지금부터 2500년 전, 정복한 나라의 백성을 자유롭게 해준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고레스 대왕은 인종과 종교를 뛰어넘어 인권과 자유의 가치를 최고로 인정했다.

 

저자는 책에서 "고레스 대왕의 통치와 삶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세상에 메시지를 던지고 싶었다."며, "이해와 존중, 평화의 메시지가 여러분의 마음에도 닿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저자는 1988년 미국으로 건너가 의류 사업과 부동산 사업을 하는 아마추어 작가로 성경책에서 만나 감동을 받은 고레스 대왕에 대하여 10여 년간 꾸준히 자료를 모으면서 집필을 시작해 역사 장편소설 '고레스 대왕, 페르시아 이야기'(휴앤스토리)를 최근 세상에 내놓았다.

 

'고레스 대왕, 페르시아 이야기'는 역사 소설 이라고는 하지만 성경 내용이 많다. 또한 페르시아 뿐만 아니라 인근 왕국들의 역사와 신화, 성경 이야기들도 함께 등장하는데 시대적 배경을 짚어보며 읽는 것도 하나의 재미일 듯하다.

 

저자는 '고레스 대왕과 페르시아의 이야기'에서 옛날 고레스가 추구하던 가치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인류가 추구하는 보편적인 가치인 인류 평화와 인권 존중은 하나로 일치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고레스 대왕은 바벨론을 정복하고 난 후 "모든 시민은 생각과 선택의 자유, 종교의 자유를 가질 권리가 있으며, 노예 제도를 금지하며, 모든 개인은 서로 존중해야 하고, 궁궐을 짓는 모든 일꾼에게는 급여를 지급해야 한다."는 칙령의 발표 내용이다.

 

독재정권 아래에서 인권을 존중받지 못하던 시대임을 생각해 보면, 백성을 헤아리는 고레스 대왕의 마음이 얼마나 지극하였는지 알 수 있다. 고레스 대왕이 추구한 인류 보편적 가치는 과거에만 통용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데에도 필요한 메시지가 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