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대통령실

尹 "연 230억불 R&D 재정, 기초원천기술·도전적인 연구 중점 사용"

영국을 국빈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연간 230억달러(약 29조8000억원)가 넘는 국가 연구개발(R&D) 재정을 민간과 시장에서 투자하기 어려운 기초원천기술과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에 중점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영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런던 왕립 학회에서 열린 한·영 최고과학자 과학기술 미래포럼에서 기조연설하고 있다. /뉴시스(공동취재)

영국을 국빈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연간 230억달러(약 29조8000억원)가 넘는 국가 연구개발(R&D) 재정을 민간과 시장에서 투자하기 어려운 기초원천기술과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에 중점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영국 왕립학회에서 열린 '한영 최고과학자 미래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우리 정부의 국가 R&D 지원체계 전환을 알리고, 기술 강국인 영국과의 연구 협력을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아이작 뉴턴, 찰스 다윈, 앨버트 아인슈타인 등 역사를 바꾼 거인들의 숨결이 느껴지는 이곳 왕립학회에서 최고과학자들과 함께 과학의 역할과 미래 협력에 대해 얘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우주, 자연, 생명의 근원적 원리를 밝히고, 진리를 찾고자 하는 과학자들의 도전과 헌신은 현대 문명의 근간이 되고 있다"며 "21세기 과학기술이 비약적으로 진보하는 데 이러한 뉴턴 시절부터의 도전정신이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영국이 선도한 산업혁명은 바로 과학혁명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고, 이것이 현대의 디지털혁명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왕립학회의 오랜 역사와 전통에서 알 수 있듯이 과학은 늘 인류의 공동 번영과 협력을 지향해 왔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뛰어난 천재 한 명이 세상을 바꾸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며 "러 인재들이 함께 공동 연구하고 협력하여 새로운 지식과 혁신을 창출해내는 것이 현대 과학기술 발전의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에너지 자원 고갈, 기후위기 등 글로벌 도전과제들을 언급하며 "한 나라의 기술혁신과 노력만으로 해결하기는 어렵다. 대한민국은 영국 왕립학회와 같은 세계 최우수 연구자들과 글로벌 연구 협력을 적극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경제성장은 정부와 민간이 함께 과학기술 투자에 힘을 쏟고, 이를 기반으로 강력한 산업화에 나섰기에 가능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양적 위주의 성장에서 질적 위주의 성장으로,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전환하기 위해 이를 뒷받침하는 국가 R&D 지원체계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국 왕립학회 회원들과 같은 세계 최우수 연구자들과의 글로벌 연구 협력과 교류도 적극 확대하겠다"며 "대한민국 정부는 과학기술 협력 파트너로서 영국과의 공고한 연대를 제안하고, 희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랫동안 교류해 온 영국 왕립학회와 한국의 기초과학연구원, 과학기술한림원이 중심이 돼 세계 최고의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미래 연구자를 함께 양성할 수 있는 공동 연구 프로그램을 추진해 주시기 바란다"며 "대한민국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서면 더 멀리 볼 수 있다'는 아이작 뉴턴의 말을 인용하며 "오늘 여기 모인 최고과학자들의 연대와 협력이 한영 양국의 젊은 과학자들에게 거인의 어깨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포럼 참석에 앞서 케이스 무어 왕립학회 도서관장의 안내로 360여 년간 모든 회원들의 서명이 담긴 왕립학회 헌장,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 등이 담긴 서적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초판 원고인 프린키피아, 뉴턴 사망한 직후 예술가 마이클 리스브랙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뉴턴 데드마스크', 1671년 천체 관측용으로 제작된 뉴턴 반사 망원경, 뉴턴의 머리카락, 왕립학회가 1665년 3월 6일 발간한 세계 최초의 과학저널인 왕립학회 회보, 찰스 다윈이 비글호 항해 중 사용한 기압계, 18세기 독일의 식물학·곤충학자이자 식물화가인 게오르크 에레트의 식물화 30여 점 등 왕립학회의 주요 소장품을 살펴봤다.

 

영국을 국빈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연간 230억달러(약 29조8000억원)가 넘는 국가 연구개발(R&D) 재정을 민간과 시장에서 투자하기 어려운 기초원천기술과 세계 최고를 지향하는 혁신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에 중점 사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런던 영국 왕립학회를 방문, 키스 무어(오른쪽) 학회 도서관장으로부터 설명을 들으며 아이작 뉴턴의 데스마스크(사후에 본뜬 안면상) 등 유품을 보고 있다. 왼쪽부터 미셸 도넬란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 에든버러 공작부인 소피. 윤 대통령, 무어 도서관장. /뉴시스(AP)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