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인문계 수시 논술 결시생 늘었다…“최저등급 미충족 N수생 많은 듯”

지난 주말 치러진 중앙대 수시모집 논술고사를 마치고 수험생들이 캠퍼스를 빠져 나가고 있다./중앙대 제공

주요 대학 인문계열 수시 논술고사 응시율이 지난해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낮추지 않은 대학의 논술고사 응시율이 낮아지면서, 수능 가채점 후 등급이 하락해 시험을 포기한 학생이 많아졌다는 추측이 나온다.

 

2024학년도 주요대 논술 계열별 응시율 상황/종로학원 제공

28일 종로학원이 분석한 '2024학년도 주요 대학 논술고사 계열별 응시율'에 따르면, 성균관대·한양대·경희대·중앙대·이화여대 문과의 논술시험 응시율이 전년 대비 하락했다.

 

이화여대는 41.7%로 지난해 응시율 49.9%보다 8.2%p 하락했다. 지원자 과반수가 시험을 포기한 셈이다. 성균관대 응시율은 2023학년도 53.8%에서 2024학년도 50.1%로 3.7%p ▲경희대 (62.5%→60.7%) ▲중앙대 (45.3%→43.7%) ▲한양대 인문계 (83.2%→82.3%) ▲한양대 상경계 (68.1%→67.6%) 순으로 응시율 하락폭이 컸다.

 

이를 두고 수능 최저학력기준(등급) 충족이 어려워 수시 논술전형에 응시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주로 논술전형에 지원하는 N수생 중 올해 문과 지망 반수생의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자 수가 줄어들었을 수 있다"라며 "특히 반수생은 논술 지원자의 상당수가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못 맞췄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모든 주요 대학 인문계열의 논술고사 응시율이 하락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같은 추측을 뒷받침한다. 논술을 응시하지 않는 이유는 시험일이 겹쳐서 하나를 택할 수 밖에 없거나, 수능 점수가 평소 실력보다 높아 정시를 노리는 등의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지난해보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낮추지 않은 대학 위주로 응시율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지난해보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낮춘 서강대(56.7%)와 동국대(57.3%)는 지난해보다 응시율이 각각 2.5%p, 7.8%p 높아졌다.

 

반면, 같은 대학 자연계열은 인문계열과 반대로 응시율이 상승세를 보인다. 한양대 자연계열은 72.3%이던 전년 대비 1.5%p올라 73.8%를 기록했으며, 경희대는 53.8%에서 55.9%로, 중앙대는 지난해 39.7%에서 42.9%로, 건국대 58.2%에서 58.7% 응시한 것으로 나타냈다.

 

임성호 대표는 "수능 고득점 수험생은 수시 논술전형을 포기하고 정시전형을 노릴 수 있지만, 수시 논술전형 자체가 대부분 상향지원 패턴이기 때문에 정시에서 상향지원 학생들은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