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M커버스토리] "" 좋은 것만 먹일래요" 식품업계, 영유아식에 꽂혔다

감소하는 출산율에도 영유아식 시장 규모는 성장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영유아식 시장 규모는 2015년 680억원에서 2020년 1671억원으로 2배 이상 성장했으며 2025년에는 3300억원으로 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편리성을 선호하는 맞벌이 부부가 늘어난 데다, 건강한 것을 먹이고 싶어하는 부모의 욕구가 반영된 것으로 업계는 분석했다.

 

하림은 최근 '어린이 HMR(가정간편식)' 브랜드 '푸디버디'를 론칭하고 즉석밥 3종과 라면 4종, 국물요리·볶음밥·튀김요리 5종, 핫도그 5종 등 신제품 24종을 출시했다. 저출산 기조이지만, 영유아식 시장 등 어린이 관련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세이기 때문에 시장에 뛰어든 것.

 

하림 측은 "어린이식과 유아식은 영양에만 초점을 맞춰 맛이 없을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맛과 영양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브랜드"라고 설명했다.

 

당시 브랜드 개발에 참여한 김홍국 회장 역시 "못 먹게 하지 마세요, 마음 놓고 제대로 먹이세요"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푸디버디 제품에는 합성첨가물도 들어가지 않는다. 100% 국내산 유기농 쌀과 생채소, 한우, 생계육과 생돈육을 비롯해 고흥 미역 등 지역 특산물을 활용했다.

 

전문 영양사를 통해 어린이의 성장과 발육에 맞춘 영양학적 제품 설계도 강화했으며, 어린이들이 부담 없이 소화할 수 있도록 재료의 식감과 크기에 대한 연구 결과도 반영했다.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지난 1일 서울 강남구 CGV청담씨네시티에서 열린 국내 최초 어린이식 전문 브랜드 '푸디버디' 브랜드 론칭 행사에 참석해 기념촬영 하고 있다. / 손진영기자 son@

하림 관계자는 "이번 어린이식 시장 개척을 시작으로 끊임없는 개발 등을 통해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한편 어린이식 제품의 혁신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친환경 유기농 전문 초록마을은 영유아 식품 전용 브랜드 '초록베베'를 6월 론칭하고 70여종 제품을 냈다. 이달에는 볶음밥을 출시하며 HMR로 라인업을 확장했다.

 

초록베베 볶음밥은 한우·새우·닭안심 등 3종으로 선보이는데, 건강하고 안전한 식품을 구현하는 데 중점을 뒀다. 무항생제 한우, 무인산염 백새우, 무항생제 닭안심을 주재료로 국내산 유기농 쌀과 당근, 홍파프리카, 양파 등 얼리지 않은 국내산 생채소 7가지를 사용했다.

 

볶음밥 1봉지의 나트륨 함량은 270㎎, 새우볶음밥은 300㎎으로 유아(3~5세)의 한 끼 나트륨 충분 섭취량(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인 약 330㎎ 대비 각각 82%, 91% 수준이다.

 

맞벌이 부부의 바쁜 육아 환경을 고려한 편리한 포장 방식까지 더했다. 끼니 때마다 남기지 않도록 아이 한 끼 식사에 적합한 180g씩 소포장하고, 손으로 뜯기 편해 빠른 식사 준비를 돕는 이지컷 포장 방식을 적용했다.

 

초록마을 MD들이 초록베베 상품을 소개하고있다/초록마을

이영훈 초록마을 가공식품기획 총괄은 "초록베베 론칭 초기에는 이유식 재료 중심으로 상품군을 빠르게 늘렸다면 지금은 초록마을의 경쟁력인 PB, 그 중 가공식에 집중해 기획·개발을 진행 중"이라며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바쁜 부모들을 위해 간편하면서 안전하고 건강한 '초안심' 식품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실제로 초록마을은 초록베베 론칭 후 유의미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10월 기준 영유아 상품을 구매한 활성 고객의 숫자는 초록베베 론칭 전인 6월보다 30% 늘었다. 같은 기간 영유아 상품 관련 월매출은 35% 증가했다.

 

베이비본죽의 운영사 순수본은 이유식을 강화하기 위해 월령을 세분화했고, 다품종 소량 생산방식 전략으로 바꿔 사업을 운영중이다.

 

영유아식 성장세에는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헬시플레저 열풍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이어트를 위해 칼로리가 적은 어린이 전용 치킨이나 라면, 고혈압을 관리하느라 나트륨이 낮은 국물과 볶음밥, 유당불내증에도 먹을 수 있는 유제품 등 다양한 이유로 어린이식을 일부러 챙겨 먹는 사례가 늘고 있다.

 

매일유업의 유기농 우유 브랜드 '상하목장'은 대표적인 아이간식으로 유당불내증이 있는 어른도 함께 먹을 수 있는 어른간식으로도 입소문을 탔다.

 

상하목장은 락토프리 제품 중에서도 유기농 및 프리미엄 우유를 희망하는 소비자를 위해 '유기농 락토프리 우유'를 선보였다. 국내 최초로 유기농 우유에 유당분해공법을 적용한 우유로 유기농 전용목장의 유기농 원료를 사용했으며, 매일유업의 락토프리(LF) 공법으로 유제품 섭취 시 배 아픔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우유의 유당 성분을 제거했다.

 

전지분유가 함유된 아이 간식 오리온의 '베베'는 소비자 성원에 힘입어 2019년, '배배'라는 이름으로 단종된 지 7년 만에 재출시됐다. 배배는 특유의 부드러운 식감과 입 안에서 사르르 퍼지는 달달한 분유 맛으로 아이뿐만 아니라 남녀노소 좋아하는 추억의 과자다. 출시 당시부터 성인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은 배배는 해썹(HACCP) 인증을 받은 과자로 성인과 아이가 모두 부담 없이 먹기에 좋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영양성분이 좋은 어린이식을 찾는 성인이 늘어나고 있다"며 "저염·저당식을 원하는 성인에게는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건강하지만 맛은 없을 것이라는 편견도 깨부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