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2024 전국 교대, 정시 1744명 선발…성비 제한 두는 대학도

한국교원대만 가군…나머지 대학 모두 나군서 선발
경인·진주교대 등 수학 가산점…제주대는 과탐도
면접보는 대학 있지만, 대부분 실질 반영율은 낮아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지난달 16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자고등학교 시험장을 찾은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 손진영기자 son@

초등교육과가 개설된 전국 10개 교육대학과 이화여대·제주대·한국교원대 등 총 13개 대학에서 2024학년도 1744명(정원 내)의 신입생을 선발한다. 최근 임용 어려움과 교권 추락 등으로 교대 인기가 낮아지고 있지만, 교대에 확고한 진로희망을 가진 학생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

 

4일 교육계에 따르면, 올해는 서울교대에서 41명, 진주교대에서 32명의 선발인원을 늘리면서 전국에서 전년 대비 73명이 증가했다.

 

선발인원이 가장 많은 대학은 경인교대로 일반학생 235명, 만학도 25명을 선발한다. 13개 대학 중 한국교원대(45명)만 가군에서 선발하고, 나머지 12개 대학들은 모두 나군에서 선발한다.

 

2024학년도 초등교육과 정시 대학별 전형방법(정원 내)/진학사 제공

교대의 수능 영역별 반영비율을 살펴보면, 국어, 수학, 영어, 탐구 영역을 동일한 비율로 적용하는 대학들이 많다. 동일한 비율이 아니더라도 영역 간 반영비율 차이가 크지 않은 편이다. 단, 서울교대는 영어와 한국사를 점수에 포함하지 않고 최저학력기준으로 설정해 영어는 3등급, 한국사는 4등급 이내를 반드시 취득해야 한다. 춘천교대는 영어 반영 비율이 낮아 14.2%만 반영한다.

 

이화여대가 수학 비중을 기존 25%에서 올해 30%로 높이고 탐구 비중은 기존 25% 올해 20%으로 낮췄다.

 

일부 대학은 가산점을 부여한다. 부산교대, 서울교대, 전주교대, 청주교대, 춘천교대가 올해부터 가산점을 폐지했지만, 경인교대, 진주교대, 한국교원대는 여전히 수학(미적분/기하)에 3~10%의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다. 제주대는 이번에 가산점을 새로 도입해 미적분/기하 및 과탐 응시자(2과목 응시자에 한함)에게 각각 5%씩의 가산점을 부여한다.

 

2024학년도 초등교육과 정시 면접 평가항목/진학사 제공

대학별 면접 반영 여부나 비율도 달라 확인해야 한다. 광주교대, 이화여대, 제주대, 춘천교대, 한국교원대는 수능 성적만으로 학생을 선발하며, 면접을 치르는 대부분 대학은 단계별 전형을 통해 모집정원의 1.5배수 또는 2배수의 학생만을 대상으로 면접을 치른다. 단, 대구교대, 부산교대는 지원자 전원을 대상으로 면접을 치른다.

 

면접 반영 비율은 대학에 따라 차이가 크지만, 명목상 반영비율이 높더라도 면접에서 기본점수를 부여하기 때문에 실질 반영률은 높지 않은 경우가 많다. 부산교대나 진주교대, 청주교대의 경우 명목상 면접 비율은 20%이지만 실질 반영률은 각각 4.8, 5.9%, 9.1%로 내려간다.

 

지난해 부산교대에 이어 올해 경인교대도 비대면으로 면접을 진행한다. 사전에 공개된 문항에 대한 답변을 영상으로 녹화해 온라인으로 제출하는 방식이다. 경인교대는 이를 패스(Pass)/실패(Fail)로 평가해 실패일때는 불합격, 패스일 경우 300점을 부여한다.

 

초등교육과의 경우 성비 제한을 두기도 한다. 남·여 한쪽 성별이 합격자의 일정 비율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전년도 경인교대, 부산교대, 진주교대에 이어 올해 광주교대, 대구교대, 서울교대, 청주교대가 성비 적용 폐지했지만 공주교대(70%), 제주대(70%)는 여전히 일정 비율로 제한한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교대는 수시 미충원으로 인한 이월인원이 비교적 많은 편"이라며 "지난해 서울교대는 정시 선발인원이 당초 161명이었지만, 수시 이월인원이 포함된 최종 선발인원은 244명이었다. 따라서 정시 지원 전 최종 모집인원을 다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