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지방은행 예금 금리 고공행진...저축은행 넘었다

지방은행 1년 정기예금 금리 4.13%↑…저축은행 평균은 4.06%
1금융권-2금융권 금리 역전…지방銀-저축銀 자금 수요 대비 때문
지방은행 자금수요 증가한 반면 저축은행은 이자비용에 부담 느껴

지방은행 정기예금 금리가 지방은행 정기예금 평균 금리를 앞지르면서, 제1금융권-제2금융권 간 금리 역전이 발생했다./뉴시스

지방은행이 자금조달을 위해 단기성(12개월 이하) 정기예금 금리를 인상하면서, 지방은행 정기예금 상품 금리가 4.13%~4.37%(12개월, 최고금리, 은행별 금리 최상단 기준)로 저축은행 정기예금 상품 평균(4.06%)을 앞질렀다. 대출 증가로 지방은행의 자금 수요가 늘어난 만큼 지방은행-저축은행 간 금리 역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각 지방은행(부산·대구·경남·광주·전북)이 취급하는 정기예금 상품의 최고 금리는 연 4.13~4.37% 수준이다. 각 은행이 취급하는 정기상품 금리가 저축은행 정기예금 평균 금리(4.06%)보다 높아 제1금융권 금리가 제2금융권 금리를 앞지르는 금리 역전이 발생했다.

 

금리 역전이 발생하면 제2금융권 자금이 제1금융권으로 이동하고, 저축은행 등은 자금난을 겪게 된다.

 

이번 금리 역전은 지방은행과 저축은행의 자금수요 비(非)일치로 발생했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지방은행이 핵심예금액(요구불예금, 저축성예금 등 저원가성 예금) 이탈 및 대출액 증가로 늘어난 자금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 반면, 저축은행은 이자비용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에 금리를 내리고 있다는 것.

 

각 은행별 공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지방은행 원화대출금은 지난해 말(181조원)보다 6% 늘어난 192조원을 기록했다. 반면 주요 자금원인 핵심예금액은 3분기 기준 지난해 같은 기간(69조원)보다 12.6% 줄어든 60조원을 기록했다.

 

늘어난 자금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지방은행은 고금리 예금을 통한 수신(예금·적금 등을 통해 고객의 돈을 맡는 영업 행위)경쟁에 나섰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연 4% 이상(12개월, 최고금리 기준)의 금리를 제공하는 은행권 정기예금 상품 30개 중 15개를 지방은행이 취급했다. 또한 정기예금 금리 상위 10개 상품 중 8개 상품이 지방은행 상품이었다.

 

반면 저축은행은 이자비용으로 인한 실적 악화를 극복하기 위해 금리를 낮추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상위 10개 저축은행의 이자비용은 5329억원으로, 전년 동기간 지출한 2976억원보다 79%(2353억원) 늘었다. 3분기 누적 순이익도 지난해 같은 기간 기록한 7862억원 대비 95.5%(7505억원) 줄어든 357억원에 그쳤다.

 

전체 79개 저축은행의 누적 순손실액도 올해 3분기 누적 1413억원을 기록해 상반기 누적 적자액(960억원)보다 453억원 늘었다.

 

이에 따라 지난 10월 1일 4.19%였던 저축은행 정기예금 상품 평균 금리(12개월, 최고금리 기준)는 11월 1일에는 4.12%로 내렸으며, 12월 1일에는 4.06%까지 떨어졌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달 초 "수신금리 추이 및 자금흐름 동향 등 지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건전한 경영을 유도하겠다"며 수신경쟁 자제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냈지만, 수신 외 자금조달 수단인 은행채 금리가 3.99%(AA+물, 12개월 기준)에 달해 지방은행의 수신경쟁과 금리 역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연말을 앞둔 겨울에는 자금 재유치를 위해 은행권 전체에서 금리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며 "지난해 채권 시장 경색으로 은행채 발행이 어려워 고금리 상품 판매가 더 많았던 만큼, 올해는 예년보다 자금수요가 더 늘어났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