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대기업 IT 서비스 계열사, AI·클라우드 앞세워 독립성 강화…국가 DX 경쟁력도 제고

대기업 IT 서비스 계열사들이 클라우드와 생성형 AI 등 사업을 성공적으로 육성하며 독립성을 높이고 있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3·4분기 누적으로 주요 IT 기업 내부 거래 비중이 전년 대비 감소세를 이어갔다.

 

삼성SDS가 7.5% 포인트, LG CNS가 3.4% 포인트, 포스코DX가 1.5% 포인트 줄었다. 매출 대비 특수관계자 매출 비중을 계산한 것으로, 롯데정보통신만 1.9% 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숫자만 보면 LG CNS가 53.5%로 가장 적었다. 포스코DX(89.5%)보다 훨씬 외부 매출에 의존하고 있다는 의미다. 삼성SDS(69%)도 큰폭으로 외부 의존도를 늘리고 있었다. 롯데정보통신이 전년대비 늘긴 했지만 66.9%로 적은 편이었다.

 

삼성SDS 관계자는 "해외 계열사 등을 제외하면 내부 거래 비중을 60% 대를 유지하고 있다"며 내부 거래를 줄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IT 서비스 계열사들이 생성형 AI를 활용해 외부 매출을 확대하는데 공을 들여온 영향으로 보고 있다.

 

삼성SDS가 지난 9월 생성형 AI를 접목한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을 공개한데 이어 LG CNS가 10월 'DAP GenAI'를 출시하며 뒤를 따랐다. SK C&C도 보고서와 프레젠테이션 등을 제작하는 솔루션을 상용화한 상태다. 롯데정보통신도 롯데그룹 정보화전략세미나에서 자체 생성형 AI플랫폼을 선보이며 사업화를 예고했다.

 

클라우드 사업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삼성SDS는 3분기 클라우드 매출만 4700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 중 15%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LG CNS도 최근 1달만에 AWS 주요 인증을 4개나 획득하는 등 영향력을 공고히했다.

 

디지털 전환(DX) 부문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포스코 DX가 대표적, 산업현장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스마트물류를 구축하는 등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롯데정보통신과 신세계I&C도 외부 사업 확대를 추진중이다.

 

증권가에서도 IT 서비스 업계 성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다올투자증권은 지난달 내놓은 보고서에서 삼성SDS의 성장 가시성이 높아졌다며 적정주가를 21만원에서 25만원으로 상향했다. 신한투자증권도 지난 10월 롯데정보통신에 대해 그룹사 내 신규 계열사 편입, 스마트 물류 자동화 확대 등으로 시스템통합(SI)·시스템운영(SM) 부문 실적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올투자증권 김하정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HPC 클라우드 서비스 계약에 따른 6년간 4608억원 규모의 계약 공시는 동탄 데이터센터 확장에 따른 CSP 매출의 성장 가시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 그룹의 전산실로 불리던 IT서비스 기업의 모습은 옛말"이라며, "계열사 사업을 추진하면서 축적한 사업역량과 DX기술력이 대외적으로도 인정받아 외부고객사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