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LG이노텍, 전기차 더 오래 달리게 하는 '무선 BMS' 개발 완료…생산비용도 절감

LG이노텍 무선 BMS

LG이노텍이 전기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무선으로 만들었다.

 

LG이노텍은 무선 BMS 개발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내년 CES2024에 소개할 예정이다.

 

BMS는 전기차 필수 부품이다. 전기차 배터리 전압과 전류, 온도 등을 모니터링해 성능과 수명을 최적화하는 제어 시스템으로, BMS 성능에 따라 전기차 품질도 좌우될 정도다.

 

LG이노텍이 만든 무선 BMS는 우선 경량화를 가능케 한다. 케이블과 커넥터를 빼면 30~90kg 수준을 줄일 수 있다. 여유 공간도 대폭 확대된다. BMW가 차지하던 공간이 배터리팩에서 10~15%, 배터리 용량을 그만큼 더 늘릴 수 있다는 의미다.

 

LG이노텍은 무선 BMS를 적용하면 전기차 주행 거리가 최대 50km까지 늘어나는 것으로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팩 구조 변경 등 설계도 더 유연하게 진행할 수 있다.

 

신뢰성도 높다. 케이블과 커넥터 결함 발생을 완전히 없애면서다. 복잡한 케이블 연결 때문에 수작업이 불가피했던 배터리팩 조립을 로봇에 맏길 수 있어 생산 비용 절감까지 가능해진다.

 

LG이노텍은 일찌감치 무선 기술을 개발하며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1980년대 RF 모듈레이트를 시작으로 와이파이와 5G 모듈, UWB와 블루투스 규격 디지털키 등이다.

 

최근에는 이를 활용해 자동차 부품에 적용해왔다. 이종간 통신 간섭을 최소화한 RF(무선주파수) 회로와 안테나 설계 기술 등을 통해 2019년 '5G-V2X' 통신 모듈, 2021년 '차량용 와이파이 6E 모듈'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LG이노텍은 이같은 무선통신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무선 BMS를 선제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또 RF 통신모듈을 모든 무선 BMS용 통신칩과 호환할 수 있도록 해 모든 전기차종에 적용하기도 쉽다. 전압도 800V로 전기차 고압 트렌드를 앞섰다.

 

아울러 LG이노텍은 무선 BMS를 활용해 배터리팩 개발 단계에서 가상으로 품질 검증을 실시하는 시뮬레이션 기술도 업계 최초로 구축했다. 검증 결과 실측과 95% 이상 일치했음을 확인했다. 기술성 테스트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앤 것.

 

LG이노텍은 2024년 무선 BMS를 본격 양산할 예정이다. 주요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프로모션을 추진하면서 시장 선점을 노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무선 BMS 시장 규모를 2028년 1조3000억원 규모로 예상하고 있다.

 

LG이노텍은 앞으로 무선 전기차 충전용 컨트롤러(EVCC)를 개발하며 전기차 시장 전장 부품 리더십을 더한다는 계획이다.

 

문혁수 CEO는 "LG이노텍은 차별적 고객가치를 제공하는 전장부품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Provider)로서, 글로벌 입지를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