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오세훈 "한국 행복지수 세계 최하위...서울시 할 일 많다"

오세훈 서울시장./ 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은 갑진년 신년사에서 "'세계행복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행복지수는 세계 57위로, OECD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시민의 행복한 삶을 뒷받침하기 위해 서울시가 해야 할 일이 너무나 많다"고 말했다.

 

지난달 31일 오 시장은 신년사를 통해 "시민 행복을 최우선으로 도시 전체를 획기적으로 혁신해 미래 먹거리와 일자리를 창출하고 서울의 도시 정체성을 전 세계로 널리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 시장은 ▲도시공간 대개조를 통한 '매력특별시 도약' ▲민생 최우선의 '약자 동행 지속' ▲대규모 자연·사회적 재난에 '안전한 서울 구현'을 약속했다.

 

오 시장은 도심·수변 등 도시공간을 본격적으로 대개조해서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높이고 미래 먹거리도 창출해 '매력특별시 서울'로 본격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우선 시는 경관 등 도시공간을 혁신하고 녹색 여가 공간을 대폭 확대하는 '정원도시' 조성을 통해 서울의 매력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도시경관 미래비전인 '2040 서울경관 마스터플랜' 수립으로 도시·건축디자인을 업그레이드하고 서울만의 스카이라인 비전을 연내 완성한다. 송현동부지를 창덕궁~종묘~인사동~경복궁을 잇는 도심정원으로 재조성하는 한편 용산·은평·강동 등에 '생활밀착형 공원' 22곳을 확충, 서울 전역에 녹색 여가 공간을 만든다는 구상이다.

 

작년 3월 개장해 5만명 이상이 다녀간 '홍제천 수변 테라스 카페'에 이은 수변 활력 거점공간도 세곡·도림·불광천을 포함 8곳에 신규로 조성한다.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벤치·조명·가판대와 같은 공공시설물에 펀(FUN) 디자인을 적용해 즐거움을 선사하고 도심 속 방치된 시설물은 예술과 휴식이 공존하는 녹색쉼터로 되살린다.

 

약자와 동행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시는 소상공인 살리기에 나선다. 소상공인 5000여명을 선제 발굴해 경영 개선 비용과 안전한 폐업 및 재기 비용을 지원한다.

 

또 시는 주택 공급 정책의 결실을 맺는 한 해를 만든다는 목표로 모아타운 1호 대상지인 '강북구 번동'에서 첫 삽을 뜨고, '신속통합기획' 104곳과 '모아주택' 115곳, '모아타운' 81곳에 대한 사업 추진도 가속화한다. '고품질 임대주택' 8000여호도 연내 공급할 계획이다.

 

대규모 자연재해와 사회적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서울을 구현하기 위해 '안심마을 보안관'을 25개 전체 자치구로 확대하고, 주택가·공원·등산로 등 생활 밀접 지역에 지능형 CCTV 약 5900대를 신규 설치해 안전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

 

수해에 대한 철통방어를 위해 상습 침수지역인 도림천, 강남역, 광화문 일대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건설에 속도를 내고, 강남·서초·영등포 등 침수 위험이 높은 지역 8곳에 '빗물펌프장'을 확충한다.

 

도시철도 안전도 보강한다. 25년 이상된 노후 전동차 860칸을 교체하고, 승강장 발 빠짐 사고 예방을 위한 '자동 안전 발판'을 2025년까지 46개 역사에 도입해 안전한 이동을 보장한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메가시티 서울' 논의와 관련해 오 시장은 "'메가시티 서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서울 인근에 거주하는 인접도시 주민의 불편을 해소해 나가야 하고, 무엇보다 시민의 동의와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며 "정부·국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오 시장은 "2024년도에 서울시는 약자와의 동행을 통해 도시를 따뜻함으로 채우고 서울 곳곳에 아름다움과 매력을 더해서 천만 시민이 행복한 미래를 향해 더욱 힘차게 도약할 것"이라며 "갑진년 청룡의 해, 서울시의 힘찬 비상을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