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부경대 출신 산악인 故 서성호 대원 추모집 발간

이미지/서성호기념사업회

부산의 대표 산악인으로 불리는 고(故) 서성호 씨의 추모집 '8000m에서 하늘이 된 삶'(서성호기념사업회)이 지난달 발간됐다. 8000m 12좌를 오른 서성호 씨가 2013년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 정상을 무산소로 오르고 난 뒤 하산 중 사망한 지 10년 만이다.

 

서 씨는 1998년 국립부경대학교에 입학, 학교 산악부에 입회해 2003년 대통령기 등산대회와 전국체전 대학부 단체전 우승, 2004년 북미 최고봉 데날리(6194m) 등반, 2005년 히말라야 푸모리 등정에 성공하는 등 활약했다.

 

이어 8000m 14좌 완등을 목표로 결성된 '다이내믹 부산 희망 원정대'에 대원으로 참가해 맹활약하며 2006년부터 에베레스트를 시작으로 8000m 봉 12개와 푸모리(7161m) 등 세계의 숱한 고봉에 올랐다.

 

2013년에는 인공산소를 사용해 2006년 올랐던 에베레스트를 무산소로 재도전에 나섰다. 해발 0m 인도 벵골만에서 카약으로 출발해 자전거, 도보, 등반으로 정상인 8848m까지 인간의 힘만으로 오르는 'From 0 to 8848' 프로젝트에 성공하는 기염을 토했지만, 하산 중 7950m 마지막 캠프에서 탈진으로 사망했다.

 

이 부산 원정대에는 고 김창호 대장도 함께 참가했는데, 둘은 함께했던 8000m 11좌 대부분에서 실패 없이 한 번에 정상을 오르며 완벽한 파트너십을 보였다. 김 대장도 서 씨와 함께 2013년 에베레스트를 무산소로 정상에 올랐으나, 5년 뒤 2018년 네팔의 구르자히말(7193m)에서 눈사태로 사망했다.

 

서성호기념사업회가 발간한 '8000m에서 하늘이 된 삶'은 서 씨의 등반 여정을 단계적으로 따라가며 서술한다. 대학 입학과 함께 낭만을 찾아 산악부 문을 두드렸던 시작부터, 네팔의 고봉 푸모리를 오르고 내려오다가 두 동료의 사망을 목격하고 충격을 받은 일, 8000m 봉우리마다 뛰어넘어야 했던 무수한 고난의 여정들, 부친의 사망과 경제적 어려움에도 등반의 꿈을 잃지 않는 꿋꿋한 모습 등이 자세히 서술돼 있다.

 

서 씨의 사망 뒤에는 서성호기념사업회가 결성돼 추모 사업, 우수 산악인 양성 및 지원 사업, 청소년 및 대학산악인 육성 사업, 해외 원정대 지원 사업 등 고인의 업적을 기리고 못다 이룬 뜻을 이어가는 여러 사업을 성공리에 펼쳐 왔다. 기념사업회는 이 추모집 발간을 끝으로 10년 만에 해산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