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위스키 열풍 속 NAS 위스키도 빠르게 성장...골든블루 "가성비와 개성뛰어나"

조니워커 블루라벨 산토리 가쿠빈 카발란

하이볼 열풍과 홈파티, 홈술 트렌드가 겹치면서 위스키의 인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적으로 NAS(Non Age Statement) 위스키를 즐기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IWSR(International Wine&Spirit Research)의 조사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위스키의 판매량 대부분은 NAS 위스키가 차지하고 있다. NAS 위스키란 국내에서는 흔히 '숙성 년수 미표기' 혹은 '연산 미표기' 위스키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조니워커 블루라벨'과 대만의 '카발란(KAVALAN)', 일본의 '산토리 가쿠빈' 등이 있다.

 

2016년 당시 전세계에서 판매되는 위스키는 약 1200여 종이 있었는데 이 중 77%가 NAS 위스키였다. 이후 다양한 위스키 브랜드에서 공격적으로 NAS 위스키 라인을 출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간혹 NAS 위스키를 두고 '무연산 위스키'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무연산'이란 표현은 '연산이 없다'라는 뜻으로 숙성을 하지 않았다는 말이 된다. 국가별로 위스키 숙성 기간에 대한 규정은 다르지만(▲아일랜드 최소 3년 이상 ▲일본 최소 3년 이상 ▲캐나다 최소 3년 이상 ▲한국 최소 1년 이상) 숙성을 하지 않으면 위스키로 인정받을 수 없다.

 

이러한 NAS 위스키의 성장세가 특별히 두드러지는 지역이 우리나라가 속한 아시아-태평양 지역(APAC, 이하 아태지역)이다. 최근 IWSR의 발표에 따르면2022년에 아태지역의 전체 스카치 위스키 매출액은 2021년 대비 30% 증가했는데 그 중에서 NAS 위스키의 매출액은 34%가 증가하며 평균치를 상회하는 수준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위스키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3년 11월 기준 위스키 수입량은 2만8391t으로 2022년 전체 수입량(2만7038t)을 넘어서며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0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내 위스키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며 NAS 위스키 시장도 덩달아 빠르게 성장했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신세계 L&B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2023년 최다 판매 위스키 상위 10개 제품 중 7개 제품이 NAS 위스키였다.

 

주류 기업 골든블루 측은 "NAS 위스키가 각광받는 이유로 가성비와 개성을 꼽을 수 있다"고 밝혔다. 스코틀랜드의 유명 아일라 위스키 증류소 킬호만(Kilchoman)의 창립자 안토니 윌스(Antony Wills)는 "NAS 위스키는 제품을 출시할 때 더욱 유연한 방법으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말한 바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