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하림, HMM 인수 난항 …자금 조달 우려 해소 역부족

HMM 컨테이너선 블레싱호/메트로 DB

하림그룹이 국내 최대 해운업체인 HMM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주식매매계약(SPA) 체결을 위한 막바지 협상을 진행 중인 가운데, 자금 조달 능력에 대한 잡음이 끊이지 않으면서 인수에 난항을 겪고 있다. 

 

국내 최대 벌크선 운송사 팬오션을 보유하고 있는 하림그룹이 컨테이너선사인 HMM을 인수할 경우 물류사업 확대를 통해 더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 

 

하림이 HMM을 안수하게 되면 기업 규모도 확대할 수 있다. HMM의 공정자산은 25조7890억원이다. 단순 합산으로 계산하면 하림그룹은 HMM 인수시 공정자산이 42조8790억원으로 늘어 재계 순위가 27위에서 12위로 껑충 상승한다. 

 

하지만, HMM 노동조합이 하림의 인수를 놓고 파업까지 불사한 강경 투쟁을 예고하면서 반발을 이어가는 상황이다. HMM 양대 노조인 HMM해원연합노동조합(해원노조)과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HMM지부(육상노조)는 자금 조달 능력 등을 문제 삼아 인수반대 투쟁을 준비하고 있으며 단체 협상 결렬로 노조가 총파업을 예고했다. 

 

노조는 지난해 12월 HMM 채권단인 KDB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하림을 선정하자 반대하는 입장을 전한 바 있다. 반대 이유는 자금 조달 능력이 취약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하림이 매각 대상 지분 약 57.9%를 인수하려면 6조4000억원 정도를 조달해야 한다. 하림은 계열사 팬오션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팬오션의 보유 현금이 4000억원 규모에 불과해 인수가에 턱없이 모자란다. 하림은 나머지 인수자금은 유상증자와 인수금융 등을 통해 마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만약 자금조달이 차질을 빚을 경우 HMM이 부도위기에 놓일 수 있는 리스크가 존재한다. 

 

김홍국 하림 회장/메트로 손진영

당시 노조는 하림이 자금 조달 능력이 취약한데도 인수하겠다고 하는 것은 10조원에 달하는 HMM의 유보금을 노린 것이라고 판단했다. 

 

해원노조 측은 성명에서 "하림은 HMM의 유보금 10조원을 털어먹기 위해 무리한 차입금과 유상증자, 영구채 발행으로 연쇄 도산의 위험성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하림그룹은 "HMM의 유보금은 현재의 불황에 대비하고 미래 경쟁력을 키우는데 최우선으로 사용할 것"이라며 "HMM을 인수하더라도 유보금은 타 용도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팬오션과 HMM의 합병 및 구조조정 시나리오에도 현실성이 없다며 선을 그었다. 

 

하림이 자금 조달 계획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우려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관측이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하림이 영구채와 재무적투자자(FI) 등을 통해 유치할 수 있는 자금은 1조원 안팎이다. 인수 파트너인 사모펀드 투자사 JKL파트너스는 프로젝트 펀드를 통해 5000억원 수준을 지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하림은 4대 은행과 3조원 이상의 인수금융 투자확약서(LOC)를 받아 놓은 상태다. 

 

계획대로 2조원 가량을 사용하면 팬오션 유상증자로 조달해야 하는 금액은 3조원에 달한다. 유상증자로 3조원을 마련하려면 팬오션 시가총액 1.5배 수준의 신주를 발행해야 하는데, 이는 이례적이고 무리한 증자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HMM은 단체협상 결렬에 따른 노사대립의 격화로 당분간 경영혼선이 지속될 전망이다. 노조가 인수반대 투쟁을 본격화할 채비를 서두르고 있어 하림이 HMM의 새 주인이 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노조는 우선 사측이 현대중공업에 발주해 다음 달 인수 예정인 1만3000TEU급 새 선박의 출항부터 막을 것이라고 밝힌 상황이다. 또 채권단이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인 하림과 매각 본계약을 맺을 경우 파업 범위를 출항과 하역 등 업무 전반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해운·물류업계는 HMM 노조가 실제 파업에 돌입할 경우 수출 물류 대란이 벌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