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업계에서도 '친환경'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패션을 추구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최병오 한국섬유산업연합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친환경과 디지털전환이 대두되는 글로벌 시장 흐름에 발맞춰 탄소중립과 순환경제를 준비하는 동시에 산업용 섬유 및 첨단기술 응용 등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해 지속가능한 혁신을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친환경적인 프로세스가 의무화되는 변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40여 년을 패션 사업에 종사하면서 국내 패션 업계의 발전을 함께 한 최 회장은 패션그룹형지를 일궈낸 창업주이기도 하다.
패션그룹형지는 친환경 경영을 강화해 왔다. 특히 환경재단, 다양한 기업, 지역 사회 등과 협업해 환경 문제에 대한 해법을 공동으로 모색하고 있다.
지난 2023년에는 부산·울산의 사회적 기업 우시산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폐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섬유개발에 나섰다.
패션그룹형지 관계자는 "폐의류 재활용은 환경 문제 해결에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다"며 "의류 재활용을 통해 자원 순환에 주력하고 친환경 섬유소재를 개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패션그룹형지의 계열사 및 주요 의류 브랜드들은 옥수수에서 추출한 원사, 폐페트병 재활용 원사 등 친환경 소재나 재활용 소재를 도입했다.
형지엘리트는 지난 2021년 교복업계 최초로 투명 폐페트병에서 추출한 원사로 만든 '리사이클 쿨스판' 하복 바지를 선보인 바 있다. 이에 경량성과 보온성을 강화해 '친환경 에어 소프트 웜스판' 동복 바지도 출시했다. 페트병 리사이클 섬유 '리젠', 옥수수 추출물로 만든 친환경 섬유 '젠트라'도 학생복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
그 결과, 형지엘리트의 학생복은 '2023학년도 신입생 교복 학교주관구매제' 입찰에서 낙찰률 1위에 올랐다. 친환경 교복에 대한 수요 증가가 학생복 사업에서 매출 성장으로 이어졌다는 것이 형지엘리트의 설명이다.
형지엘리트에 따르면 해당 입찰에서 소프트 웜스판 바지·치마 제품 수주는 전년 대비 45%, 리젠 쿨스판 바지 수주는 80% 늘었다.
형지엘리트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확보한 스포츠 상품화 사업에서도 리사이클링 소재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SSG 랜더스, 한화 이글스, LG 트윈스 등과 사업 계약을 잇따라 성공한 데 이어 지난 2023년 12월에는 스페인 축구 명문구단 FC바르셀로나와 공식 파트너사 계약을 맺었다.
형지엘리트는 SSG랜더스×스타벅스 스페셜 유니폼, 2022 한화이글스 리사이클 유니폼 등에 투명 페트병을 가공해 재생산한 원사를 적용해 환경 친화적인 유니폼을 선보인 바 있다.
생활문화기업 LF의 대표 브랜드 '헤지스'는 첫 업사이클링 프로젝트로 지난 2023년 11월 '리워크 컬렉션'을 공개했다.
'리워크 패션'은 판매 시기가 지난 재고 제품 및 재판매를 할 수 없는 훼손 반품 제품들을 해체해 재해석한 친환경 패션이다. 패션 업계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인 재고 문제를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겠다는 것이 헤지스의 설명이다.
헤지스는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 '올리언스 스토어'와 협업했다. '올리언스 스토어'는 부산 해리단길에서 아메리칸 캐주얼을 콘셉트로 한 빈티지 편집샵에서 시작해 오리지널 밀리터리 원단과 폐원단, 폐자재를 활용해 '리워크 패션'을 디자인해 왔다.
아울러 헤지스는 '리워크 컬렉션' 수익을 의류 폐기물을 줄이고 패션의 자원순환을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는 비영리사단법인 '다시입다연구소'에 기부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기부금은 안 입는 옷 교환 문화와 옷 수선 문화를 확산하는 사업에 사용될 예정이다.
국내에 입점해 있는 글로벌 브랜드도 친환경적인 패션 시장을 구축하는 데 힘쓰고 있다. 크록스는 지난 2021년 ESG 보고서를 발표하며 오는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크록스는 신발 한 켤레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50% 절감할 방침이다. 이는 기존 브랜드 대표 제품을 중심으로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변화를 시도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차별화 전략이기도 하다.
크록스에 따르면 크록스 신발의 주성분인 '크로슬라이트' 는 지속가능한 바이오 기반의 소재다. 또 크록스는 세계적인 재료 과학 회사인 다우와 협업해 '에콜리브리엄 기술'도 응용하고 있다. 해당 기술을 통해 지속가능한 폐기물과 부산물을 신발로 재활용한다.
특히 크록스는 국제 지속가능성 및 탄소 인증인 'ISCC 플러스'를 획득한 공급망에서 소재를 조달하고 있다. 공급망 관리에 대해 크록스 관계자는 "크록스가 사용하는 소재는 기존 산업의 부산물이나 폐기물에서 유래돼 바이오 순환되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의미"라고 밝혔다.
이어 "크록스는 지난 2021년에 100% 비건 브랜드로 전환돼 기존 제품의 특장점을 그대로 제공하는 동시에 탄소 배출량은 훨씬 낮은 신발을 선보이게 됐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