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해킹 되면 피해 막심" 전자업계, 스마트홈 보안 기술 확보에 진심

모델이 삼성 디지털프라자 용인구성본점에서 스마트싱스(SmartThings) 기반 홈 IoT 솔루션을 적용한 스마트 아파트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스마트홈(Smart home) 가전이 빠른 속도로 보급되면서 전자업계가 보안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스마트홈은 가전 등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해 주거공간에서 사용하는 기술로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홈은 사용자에 맞춰 초개인화 하는 만큼 가전끼리 사용자의 사적인 데이터를 공유해 해킹시 피해가 극심할 수 있다. 실제로 저질 IP카메라 등이 해킹돼 일반인의 일상이 적나라하게 노출 되는 등 문제는 현재도 발생하고 있다. 전자업계는 보안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기술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24일 LG전자는 지난 19일 서울 강남구 한국표준협회로부터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공동 제정한 'AI 경영시스템(ISO/IEC 42001)' 인증서를 받았다고 알렸다.

 

AI 경영시스템 인증은 다양한 평가항목에 따라 해당 기업이 AI 제품과 서비스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를 철저히 통제할 뿐 아니라 AI 관련 보안,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을 담보하고 있음을 인정한다.

 

삼성전자도 이달 스마트홈 기술과 AI 기술이 탑재된 가전들이 스마트싱스와 빅스비 등을 통해 초개인화 돼 유기적으로 연결된 만큼 사용자 보안을 최우선으로 여긴다고 알린 바 있다. 삼성전자는 특히 사이버 위협이 한가지 유형으로만 존재하지 않는 만큼 보안 방식이 다양해야 한다고 보고 '오토 블로커(Auto Blocker)' 기술을 발표하기도 했다.

 

스마트홈 시장은 5세대 이동통신 5G 도입과 함께 빠르게 성장 하고 있다. 글로벌 리서치업체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스마트홈 시장 규모는 2022년 1176억 달러(약 155조6789억원)에서 오는 2027년 2229억 달러(약 295조759억원)로, 향후 5년 내 약 9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별개로 한국AI스마트홈산업협회는 한국 스마트홈 시장 규모가 2023년 100조 원대까지 성장한 것으로 분석하기도 했다.

 

성장한 시장 규모에 비해 스마트홈 활용 수준은 크게 떨어진다. 오픈서베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스마트홈 가전 보급률은 48.3%에 달하는데, 이는 2022년 29.5% 대비 18.8%p 증가한 수준이다. 반면 동시에 스마트홈 가전을 보유하고 연동해 사용 중인 사용자는 27.6%에 불과하고 보유 중이나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도 20.7%에 달한다. 스마트홈 가전 활용이 떨어지는 데에는 "익숙하지 않다"는 응답이 59.1%로 가장 많지만 "개인정보·보안·해킹이 염려되어서"라는 응답이 24.7%로 나타났다.

 

전자업계는 스마트홈 보안 기술 개발이 단순히 보급률 높이기를 위한 조치가 아니라고 설명한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과거 IP카메라 해킹을 통한 일상생활 노출 등이 문제가 됐지만 현재는 또다른 지점에서 보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며 "스마트홈을 원격 제어하는 데에 스마트폰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데, 개인이 거의 모든 일을 스마트폰만으로 할 수 있을 정도가 되면서 정보 탈취를 위한 해킹 대상 기기도 스마트폰과 클라우드로 좁혀졌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