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경상국립대, 제12대 총장임용후보자선거에 3명 등록

왼쪽부터 신용민, 김상민, 권진회 후보. 사진/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GNU) 총장임용추천위원회(이하 총추위)와 진주시 선거관리위원회(이하 진주시선관위)는 지난 23~24일 제12대 총장임용후보자선거 후보자 등록을 진행한 결과, 모두 3명이 등록했다고 밝혔다.

 

진주시선관위는 경상국립대 총추위 참여 아래 1월 24일 오후 6시 30분 진주시선관위 회의실에서 후보자 회의를 개최하고 투표용지 게재 순위(기호)를 추첨했다.

 

기호 1번 신용민(60)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교수는 경상국립대 교학부총장·교무처장, 한국독일어문학회 회장,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 교환교수 등을 역임했다.

 

기호 2번 김상민(52)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시스템공학과 교수는 경상국립대 기획처장, 울산경남지역혁신플랫폼 운영본부장, 산학협력단 부단장을 역임했다.

 

기호 3번 권진회(58) 공과대학 항공우주및소프트웨어공학부 교수는 경상국립대 기획처장, 한국복합재료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우주항공정책포럼 공동회장을 맡고 있다.

 

후보자 등록이 마감됨에 따라 경상국립대 총추위는 후보자 공약, 자질 등을 검증하기 위한 정책토론회를 4회 개최한다. 공개토론회는 경상국립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할 예정이다. 토론회 현장은 학내외 언론의 자유로운 취재가 허용되며, 선거 당일에는 합동연설회를 개최한다.

 

제12대 총장임용후보자선거는 2월 7일 진행한다. 투·개표는 온라인 투표시스템을 이용한 투표(스마트폰, PC이용 웹 투표) 및 개표(온라인 개표)로 진행된다. 투표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이고, 결선투표를 할 경우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진행한다.

 

개표는 투표 종료 즉시 가좌캠퍼스 GNU컨벤션센터 3층 다목적홀에서 열린다.

 

선거 투표 참여 대상은 교원(조교수 이상), 직원(무기계약직 이상, 조교포함), 기금교수, 학생(일반대학원생 포함)이다. 선거일 공고일 현재 휴직·정직 중인 교원·직원·기금교수, 휴학·정학 중인 학생은 제외된다.

 

투표 결과에 대한 환산 및 반영 비율은 교원, 직원, 학생의 합의를 거쳐 정한 방식을 따른다.

 

선거운동 기간은 1월 25일부터 2월 6일까지다. 후보자는 '경상국립대학교 총장임용후보자 선정에 관한 규정'(이하 규정)에 따라 ▲선거공보(총추위가 학교 홈페이지에 선거공보 파일을 게시하고 선거인에게 해당 URL을 카카오 알림톡을 통해 발송) ▲합동연설회 또는 공개토론회 ▲전화 및 문자 메시지(문자 외에 음성·화상·동영상 등은 제외)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지지 호소(경상국립대가 개설·운영하는 인터넷 홈페이지의 게시판·대화방 등에 글이나 동영상 등을 게시하거나, 선거인에게 전자우편을 전송) 등의 방법으로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

 

규정에 따르면 총장 후보자가 3명 이상인 경우, 개표 결과 1차 투표에서 투표자의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때는 상위 2위까지 득표자를 대상으로 2차 투표를 진행한다. 2차 투표에서는 최다 득표자를 1순위 총장임용후보자로 하며, 차순위 득표자를 2순위 총장임용후보자로 한다.

 

경상국립대 총추위와 진주시선관위는 이날 후보자 회의에서 ▲법에 정한 선거운동방법 준수 ▲혈연·지연 등 연고주의 불식 ▲비방·흑색선전 자제 ▲금품 등으로 선거인 매수행위 근절 등 공명선거 실현을 위해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선거 관련 자세한 내용은 경상국립대 총추위로 문의하면 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