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K-배터리, ESS 사업 확대···글로벌 점유율 확보 '총력'

LG에너지솔루션의 애리조나주 에너지저장시설 일러스트 / LG에너지솔루션

국내 배터리 업계가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전기차 성장세의 둔화로 인한 실적 충격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사업 다각화를 통한 수익성 확보에 나서기 위해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ESS 시장은 지난 2021년 110억달러에서 2030년 2620억달러로 9년간 24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ESS는 평균 공급단가가 전기차용 배터리보다 높아 성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된다.

 

ESS는 풍력 및 태양열과 같은 간헐적인 발전원에서 생산되는 과잉 에너지를 안전하게 저장해주는 설비다. 전력 사용이 최대 부하에 이르는 시점에, 저장된 에너지를 활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 소비를 가능케 한다.

 

현재 글로벌 ESS 시장은 저렴한 LFP 제품을 앞세운 중국이 주도하고 있다. 거대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ESS 설치량을 늘려온 결과이다. 다만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영향으로 중국 기업의 미국 진출이 제한될 것이라 예상돼, 국내 기업에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업계는 중국제품과 차별화되는 LFP 배터리 기술개발에 매진 중이다.

 

특히 특히 미국은 IRA로 인해 전력망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업계는 미국 시장을 공략하는 데 사활이다. 미국은 캘리포니아, 오리건, 매사추세츠주 등에서 ESS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제도를 만들기도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애리조나에 2026년 양산을 목표로 ESS용 LFP배터리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6일 열린 지난해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ESS 시장의 높은 성장세가 지속되는 미국에서 전력망 중심으로 전략적 고객과의 계약을 추진해 안정적 파이프라인을 확보했다"며 "수익성 또한 지속 성장시킬 계획"이라 언급한 바 있다.

 

삼성SDI 역시 ESS 사업 발전을 위해 LFP(리튬인산철)배터리 시장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2026년 양산 목표로 LFP소재를 개발 중이며 관련 설비 구축 계획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K온은 북미 ESS업체 IHI테라선솔루션즈과 손잡고 ESS 사업에 집중해 미국 현지에 ESS 배터리 전용 공장 신설을 검토 중이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선박용 ESS시장, 차량 충전 사업용 ESS 시장 등을 개척할 계획이다.

 

정부는 국내 ESS 시장 활성화를 위해 발전 전략을 추진 중이다. 국내 ESS 시장은 지난 2021년부터 발생한 화재 사건으로 인해 성장이 정체했다. 이에 정부는 지난 2023년 ESS 지원 TF를 구성해 국내 ESS 산업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사업 전략에 따르면 2036년까지 최대 45조원을 투자해 26GWh(기가와트시) 규모의 ESS 장치를 설치할 계획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