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뷰티

뷰티 양대산맥 LG생건·아모레, 돌파구는?

코스알엑스의 The RX 라인 제품.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이 올해 해외 시장 다변화를 본격화해 실적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중국에서 벗어나 미국, 일본 등을 집중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6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표 화장품 기업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의 2023년 실적이 공개된 가운데 두 회사 모두 부진한 실적 원인으로 중국 매출 감소를 꼽았다.

 

LG생활건강의 2023년 연간 매출은 지난 2022년 동기 대비 5.3% 감소한 6조8048억원, 영업이익은 31.5% 감소한 4870억원이다. 이 가운데 뷰티 사업의 연간 매출은 2조8157억원으로 전년 대비 12.3%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465억원으로 전년 대비 52.6% 감소해 반토막 났다.

 

LG생활건강에 따르면 중국 수요 약세로 뷰티 사업에 전반적인 수익성이 하락했다. 해외 시장 매출이 2조323억원으로 전년 대비 6.9% 감소했는데, 이 역시 중국 시장에서의 매출이 19.6% 감소해 악영향을 미쳤다. LG생활건강의 전체 매출에서 해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0%인 가운데 주요 지역별 매출 비중은 중국 11%, 북미 9%, 일본 5% 순이다.

 

아모레퍼시픽의 실적도 부진하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의 2023년 실적은 매출 4조213억원, 영업이익 1520억원이다. 지난 2022년 동기 대비 매출은 10.5%, 영업이익은 44.1% 감소했다. 이는 매출에서는 4737억원, 영업이익은 1199억원이나 증발한 규모다.

 

아모레퍼시픽의 경우도 해외 사업 매출에서 6%의 하락세가 나타났는데 해외 사업 중 아시아 매출에서 중국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초반이다. 중국 사업 적자로 아시아 전체 영업이익도 적자전환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증권 업계는 중국에서의 적자 축소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아모레퍼시픽 자회사로 편입한 코스알엑스에 대해서는 기대감을 높였다. 아모레퍼시픽이 코스알엑스의 지분을 추가 인수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한 데 따른 분석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2021년 9월 코스알엑스 지분 38.4%를 취득했다. 당시 잔여 지분을 매수할 수 있는 매수청구권을 부여받았고 지난 2023년 10월 해당 콜옵션을 행사했다. 이로써 아모레퍼시픽은 코스알엑스의 지분 93.2%를 보유하게 됐다.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면 코스알엑스는 민감 피부를 위한 저자극 스킨케어 브랜드로 '스네일 라인', 'THE RX 라인'을 내세워 글로벌 스킨케어 시장에서 신흥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3년 동안 연평균 60% 이상의 매출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2022년에는 2044억원의 매출을 올린 데 이어 지난 2023년 연간 매출 480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북미, 동남아, 유럽, 일본 등 140여 개 국가에 진출해 해외 매출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코스알엑스는 해외 매출이 큰 회사"라며 "코스알엑스의 고유 역량을 통해 시너지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업 전반에 걸쳐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브랜드와 협업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는 과정에 있다"고 덧붙엿다.

 

LG생활건강도 해외 시장에서의 사업 기회를 확장하기 위해 브랜드 인수에 나섰다. LG생건은 지난 2023년 9월 색조 브랜드 '힌스'를 보유한 비바웨이브의 지분 75%를 425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2022년 기준, 힌스의 매출액은 218억원이며 매출 비중은 국내 50%, 해외 50%다. 특히 힌스는 세계 3위 규모의 일본 화장품 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LG생활건강은 지난 2020년에도 글로벌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과 '피지오겔'의 아시아 및 북미 사업권을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피지오겔은 독일에서 시작된 더마 화장품 브랜드로 아시아와 유럽, 남미에서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다.

 

또 더마 화장품 브랜드 'CNP'의 경우도 LG생활건강이 인수함으로써 글로벌 더마 화장품 시장에서 입지를 넓힌 사례다. LG생활건강은 해외 시장 다변화뿐만 아니라 색조 화장품, 더마 화장품 등 제품군 확장에도 주력해 실적 개선에 나설 방침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