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코리아 디스'카운트다운' 시작

최근 정부는 증시 부양 의지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새해 처음으로 참석한 자리도 증시 개장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정부의 노력과 달리 국내 증시는 '연초 효과'도 받지 못한 채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웃 나라인 일본 증시가 강세를 보이면서 더욱 희비가 교차되는 모습이었다.

 

한국 경기에는 '카운트다운'이 울리고 있다. 돌파구를 찾아야 할 시점에서 정부가 주목한 것이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로 보여진다. 코로나19 당시 대규모의 개인 투자자들이 유입됐다고는 하지만 정작 국내 증시는 하락세를 걷고 있다. 1400만명 개미(개인투자자)들의 생존에도 국내 증시가 투자 매력을 잃은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는 그 이유를 면밀히 따져야 한다.

 

자본시장연구원이 전 세계 주요 45개국과 비교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PBR(주가순자산비율)은 선진국의 52%, 신흥국의 58% 수준이다. 국내 주식의 저평가 요인 중 하나인 미흡한 주주환원, 낮은 주주가치 인식에 대한 문제는 꾸준히 제기됐던 문제 중 하나이다. 그런 차원에서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주주환원의 중요성을 상기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예고하자 상장사들은 자사주 소각 등을 포함한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발표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 박스권에 갇혀 있던 코스피를 2600선으로 끌어올리기도 했다. 명절 시즌으로 인한 숨고르기 장세의 기미도 보이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우상향 그래프로 전환된 그림이 나타나고 있다.

 

이제 문제는 앞으로다. 이번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유행적인 정책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전문가들의 당부를 신중히 반영해야 한다. 2차전지와 같은 저PBR 테마주 사례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다. 아직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세부 사항이 확정되지는 않은 만큼 우려의 시각들도 존재하고 있다. 기업의 제도 개선이 먼저냐, 상속세 규제 완화가 먼저냐는 대립부터 다양한 제도 개선의 연결고리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총선 전까지 시행될 수 있는 규모의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총선용에 불과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다만 필자는 포퓰리즘을 염두한 단기적인 카드가 아닌 자본시장의 근본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