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식품업계, 불경기에도 반사이익·해외 사업 성장이 실적 견인

고물가로 인해 국내 소비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도 식품기업들이 지난해 호실적을 기록했다. 불경기에 가공식품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K푸드 인기에 해외 수출량이 늘어 역대 최대 실적을 이룬 곳들이 늘면서 연매출 3조원을 넘긴 식품 기업도 지난해 7곳에서 9곳으로 늘었다.

 

◆롯데칠성음료·CJ프레시웨이, 3조 돌파

 

식품업계에 따르면 식품사 '매출 3조 클럽'은 기존 CJ제일제당, 대상, 동원F&B, 롯데웰푸드, 오뚜기, 농심, SPC삼립 등 7개사였으나 롯데칠성음료, CJ프레시웨이가 새로 입성했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해 3조2247억원의 매출(이하 연결기준)과 영업이익 2107억원을 달성하며 국내 종합음료기업 최초로 연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펩시 제로슈거', '칠성사이다 제로' 등을 앞세워 제로 탄산음료 시장을 이끌었고, 제로 슈거 소주 '새로'가 호응을 얻으며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13.5% 증가했다. 제로 흥행 트렌드를 기민하게 읽어 흐름을 반영한 제품 개발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지난해 경영권을 취득한 필리핀펩시의 매출 2500억원이 지난해 4분기에 반영된 점도 한몫했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해 전년 대비 11.9% 증가한 3조74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4% 늘어난 993억원이다. CJ프레시웨이 측은 "주력 사업인 식자재 유통 부문의 실적을 견고히 다진 가운데 단체급식 부문이 역대 최대 매출을 내며 실적을 견인했다"고 말했다.

 

농심의 북미 제2공장에서 신라면이 생산되어 나오는 모습/농심

◆K라면 인기에 농심·삼양 최대 실적

 

농심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2120억원으로 전년 대비 89.1%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조 4106억원으로 전년 대비 9% 늘었다. 면과 스낵 등 국내 주력사업 호조로 매출이 늘고 해외사업 성장 등에 따라 영업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회사는 풀이했다.

 

농심 호실적의 1등 공신은 신라면이다. 특히 K-라면 인기에 힘입은 해외 판매 호조세가 두드러진다. 신라면은 지난 2021년 해외 매출이 국내 매출을 뛰어넘었고 2022년엔 처음으로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이같은 해외실적 성장세는 지난해에도 신라면 국내외 매출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데 큰 힘을 보탰다. 신라면 지난해 국내외 매출은 1조 21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성장했다. 농심은 신라면 해외매출 증가분의 절반을 차지하는 미국 시장을 공략하는데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삼양식품도 주력제품인 불닭볶음면을 앞세워 최대실적을 경신했다. 지난해 매출은 1조 1929억원으로 전년 대비 31.2% 늘었고 같은기간 영업이익은 1468억원으로 62.5% 증가했다. 현재 미국에서는 월마트, 코스트코에 입점을 완료하고 주류 채널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CJ제일제당이 비비고 글로벌 캠페인을 전개했다. /CJ제일제당

◆CJ제일제당, 식품사업부문만 好好

 

CJ제일제당은 식품사업부문이 해외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며 지난해 4분기 처음으로 국내 매출을 앞섰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매출이 29조235억원으로 전년보다 3.5% 줄고, 영업이익은 1조2916억원으로 전년보다 22.4% 감소했다고 밝혔다. 대한통운을 제외하면 매출 17조8904억원, 영업이익 8195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4.7%, 35.4% 줄었다.

 

식품사업부문은 해외 성과를 바탕으로 양호한 성적을 냈다. 매출은 11조2644억원으로 전년보다 1.4%, 영업이익은 6546억원으로 4.9% 늘었다. 특히 북미 지역에서는 냉동치킨과 가공밥의 매출이 전년 대비 19%, 15% 성장했다. 지난해 본격 진출한 유럽과 호주 권역은 매출액이 1000억원을 넘어섰다.

 

식품 사업 외에 FNT, 그린바이오, 사료 ·축산 부분은 수익성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CJ제일제당은 올해 비비고 브랜드 중심의 K-푸드 사업 확장에 주력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며, 아울러 바이오사업 부문은 고부가가치 스페셜티 품목 판매를 확대해 수익성 개선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FNT사업 부문은 조미소재·글로벌 뉴트리션 소재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베트남고객이 현지 오리온 스낵을 구매하고 있다/오리온

◆건강 중시 트렌드 영향

 

당초 풀무원과 오리온도 매출 3조원을 넘기리란 전망이 나왔으나, 각각 2조 9934억원, 2조 9124억원을 기록하며 3조원 달성에는 실패했다. 그러나 이 역시 사상 최대 이익이다. 

 

풀무원은 지속가능식품 브랜드 '지구식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오리온은 맛있는 건강이라는 콘셉트의 브랜드 '닥터유'를 전개하고 있다. 특히 오리온은 지난해 영업이익 4923억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원료공급선 다변화, 글로벌 통합구매 등 제조원가 관리를 통한 효율 및 수익 중시 경영으로 영업이익이 5.5% 증가했다.

 

오리온은 올해 제품력 강화 및 법인별 시장 상황에 따른 영업전략 실행, 지속적인 설비투자로 식품사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는 한편, 그룹의 핵심 사업으로 바이오 사업도 착실히 추진해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해갈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고물가 기조로 외식 물가가 상승하면서 가공 식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많아져 호실적을 냈다"며 "무엇보다 해외 사업 성과가 뛰어났고, 소비 트렌드를 빠르게 읽어낸 덕분이다"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