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충당금 쌓느라 진빠진 카드사…연체율 해소 '총력전'

카드사 5곳 대손충당금 3조2050억원...1년새 47% '쑥'
허리띠 졸라매고 보수 영업기조 확립...문제는 리볼빙

지난해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쌓으면서 순이익이 줄어든 신용카드사가 올해도 보수적인 경영 기조를 이어질 방침이다./뉴시스

지난해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쌓으면서 순이익이 줄어든 카드사가 연체율 해소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보수적인 경영 기조가 이어질 방침이다.

 

1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용카드사 5곳(신한·삼성·KB국민·우리·하나카드)이 적립한 대손충당금은 3조2050억원이다. 전년 동기(2조1791억원) 대비 1조259억원(47.07%) 증가했다. 대손충당금은 채권 회수 어려움을 대비해 사전에 적립하는 돈이다. 연체율 상승세가 뚜렷하자 부실에 미리 대비한 것.

 

지난해 연체율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하나카드다. 지난 2022년 말 0.98%에서 0.71%포인트(p) 오른 1.69%다. 이어 신한카드의 연체율은 1.45%로 같은 기간 0.41%p 상승했다. 올해 실적을 공개한 카드사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이 밖에도 ▲우리카드 1.22%(0.02%p↑) ▲삼성카드 1.2%(0.3%%p↑) ▲KB국민카드 1.03%(0.11%p↑) 순으로 집계됐다.

 

하반기에는 상환능력이 떨어지는 중신용차주의 유입도 예고된다. 금융당국이 올해부터 스트레스 DSR제도를 도입하면서다. 스트레스 DSR이란 변동금리 대출을 이용하는 차주에게 일정수준의 가산금리를 부과해 월 상환액수를 낮추는 정책이다. DSR제도에 현금서비스와 리볼빙은 포함하지 않는 만큼 급전이 필요한 차주가 유입되는 '풍선효과'를 우려하고 있는 것.

 

카드업계는 연체율을 낮추기 위한 방편을 세우고 있다. 대출문턱을 높이고 할부 혜택을 줄이는 등 허리띠를 꽉 묶었다. 가장 먼저 우량 차주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연회비 30만원이 넘는 프리미엄 카드를 출시하면서 고소득자 확보에 나선 것.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카드사 8곳의 연회비 수익은 9852억원으로 전년 동기(9162억원) 대비 690억원(7.53%) 증가했다.

 

대출 문턱도 높였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카드업계에서 신용점수 401~500점 구간의 차주에게 대출을 단행한 곳은 KB국민카드가 유일하다. 작년 동기 해당 구간 차주에게 대출을 단행한 카드사는 삼성·현대·비씨카드 등 3곳이었다. 아울러 NH농협카드는 지난해 3분기까지 4월을 제외한 모든 달에 신용점수 300점 이하 차주에게도 카드론을 내줬지만 4분기를 시작으로 중단했다.

 

문제는 일부결제금액이월약정(리볼빙 서비스)이다. 별다른 신청 없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지만 한 번 연체하면 상환 금액이 가파르게 불어난다. 평균금리를 나타내는 '운영가격' 또한 연 17~19%로 법정최고금리에 육박한다. 지난해 말 신용카드사의 리볼빙 누적잔액은 7조5505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연체율을 낮추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차주의 상환능력이 높아져야 하는 것으로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영역이다"라며 "비용을 들여서라도 고신용 차주를 확보하고 대출 문턱을 높이는 것 외에 뾰족한 수는 없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