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첫째로 생각하겠노라

이현진 메트로 기자

"우리 엄마, 위암 말기래". 수화기 너머 들리는 친구의 목소리가 떨렸다. 친구는 다시 '불효녀' 신세가 됐다. 석 달 전 세 남매 중 마지막으로 늦깎이 혼인하며 "드디어 불효녀 신세는 면했다"던 친구였다. 여중생 시절 내 인생 첫 '모밀 소바'를 손수 만들어주셨던 그녀가 앞으로 겪을 투병 생활을 생각하니 내 마음도 갑갑했다.

 

유난히 더 마음이 쓰인 이유는 연일 이어지는 '의대 증원 이슈'와 직결된다. 정부의 의대생 증원 발표에 맞서 전공의들이 집단으로 사직서를 내고 의료 현장을 떠났기 때문이다.

 

정부는 2025학년도부터 5년간 2000명씩 의대 입학정원을 늘리기로 했다. 2035년까지 의사 1만5000명이 부족할 것이란 한국개발연구원(KDI) 등의 연구 결과에 따라서다.

 

정부 발표로 의료계는 뒤집어졌다. 지난해 10월 정부가 실시한 '희망 의대 신입생 증원 규모'에서 전국 의대 40개교는 총 2500여명 규모로 증원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내놓았지만, 몇 달 새 의료계는 이 수치를 '최대 350여명이 한계'라며 태세를 바꿨다. 전국 의대 교육 여건을 고려할 때 단기간 증원 시 수용이 불가능하다는 이유를 내세우며.

 

전공의들은 결국 집단 사직 후 병원 이탈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는 '엄정 대응' 방침을 유지하며 업무 개시 명령 등으로 전공의 복귀를 촉구하고 있지만, 전공의들은 발길을 돌리지 않고 있다. 전국 의대생들도 집단을 휴학하며 이에 가세하고 있다.

 

여론의 반응은 싸늘하다. 그들의 반론은 '기득권 싸움'에 불과해 보이기 때문이다. 이번 사태에서 일부 의사들의 "의사가 없으면 환자도 없다"라거나 '남들보다 더 공부해서 의사 됐으니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란 취지의 발언 등은 여론의 도마 위에 올랐다.

 

정부와 의사 간 갈등이 격화하면서 병마와 사투를 벌이고 있는 환자나 가족의 고통 또한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친구 어머니 또한 "두렵다"고 호소했다. 경기도 A병원에서 "당장 다음 주 화요일 수술 날짜를 잡아주겠다"며 보여준 서두름과 달리 '빅5'로 꼽히는 서울 B병원에서는 "지금 '사태'를 알지 않느냐"는 말까지 환자에게 스스럼없이 던지며 고개를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의대 증원에 반대하기 위해 환자 곁을 떠나는 방식의 투쟁은 국민의 공감과 지지를 받을 수 없다. 국민 목숨을 담보로 한 투쟁은 안 된다.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첫째로 생각하겠노라'는 제네바 선언을 되새김할 때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