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명동입구 등 정류소 신설...서울시 "버스 열차 현상 없앤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달 6일 오후 '명동입구 광역버스 정류소'를 찾아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서울시

서울시가 승객 밀집으로 버스 열차 현상이 발생해 시민 불편이 컸던 광역버스 정류소의 혼잡도를 개선하기 위해 정류소 신설·변경, 노선 조정 등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이달부터 명동·남대문세무서(구 백병원) 등에서 '광역버스 정류소 및 노선 혼잡 개선 대책'을 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우선 시는 광역버스가 밀집해 보행자 혼잡과 교통체증이 유발된 주요 정류장을 대상으로 정류소 신설 및 위치 조정, 노선 수정에 나선다.

 

명동입구 정류소는 퇴근 첨두시 사람이 많이 몰리는 점을 고려해 8개의 광역버스 노선을 새롭게 마련하고, 인근 광교 정류소(02-136)와 명동입구B 정류소(02-143) 등으로 분산해 혼잡도를 낮춘다. 신규 정류소는 오는 24일부터 운영된다.

 

M5107, M5115, M5121, 8800, 5007 등 5개 노선을 신설해 광교 정류장으로 경로를 변경한다. 4108, M4108 2개 노선은 명동입구B 정류장으로, 9401 1개 노선은 롯데 영프라자(02-142) 정류장으로 정차 위치를 바꾼다.

 

남대문세무서 정류소는 경기도와 협의해 10개의 노선을 신설할 예정인 명동성당 정류소(가칭)로 이전한다. 기존 중앙버스 정류소 바로 인근에 가로변 정류소를 새로 설치하고, 버스 노선을 분산 배치해 1개 도로에 버스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 경기도와 함께 2월 중 협의를 거쳐 올 상반기 중 추진할 계획이라고 시는 덧붙였다.

 

강남역과 신논현역, 사당역도 경기도와 논의해 올 7월 전까지 정류소를 조정하고, 연내 노선을 수정할 예정이다.

 

강남역은 중앙정류소로의 노선 집중을 해소할 수 있도록 인근 지역에 위치한 3개 가로변 정류소로 같은 방향의 버스 노선을 분산, 이전을 추진한다. 시 관계자는 "현재 대부분의 노선이 중앙차로 한 개 도로에 집중돼 있다"며 "강남역 서초현대타워 앞(22-652), 도시에빛(22-600), 티월드(22-654) 등 인근 가로변 정류소 방향으로 정차 위치를 옮기면 승객 집중으로 인한 승하차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신논현역은 올 상반기 중 5개 노선의 정차 방향을 인근 정류소로 이전할 계획이다. 퇴근시간대인 오후 5~9시 인파가 붐비는 금강빌딩(22-409), 주류성빌딩(22-406), 인터파크(22-411) 정류소에 안전요원 배치를 완료한 상태다.

 

사당역 9번출구 앞 정류소에도 계도요원을 투입하고, 상반기에 1개 노선을 사당역 4번출구 앞 정류소로 이전해 혼잡도를 완화할 방침이다.

 

시는 명동입구 정류장 분산 재배치, 노선 조정안 적용 후 평균 버스 대기 행렬이 312m에서 93m로 줄고, 일반차량 통행 속도가 17.9km/h에서 21.7km/h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남대문세무서(구 백병원) 정류소는 인접 가로변 정류소로 버스 노선을 분산 배치할 경우 삼일대로 통행 시간이 약 5% 단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도로 용량 한계에도 불구하고 일부 정류장에 광역버스 노선이 집중적으로 몰려있어 승객들이 불편을 겪어 왔다"면서 "대광위, 경기도 등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 혼잡도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