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름달
지난 23일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인튜이티브머신스의 무인 달탐사선 '오디세우스'가 달 착륙에 성공했다고 미 항공우주국(NASA)이 밝혔다. 아폴로 프로젝트가 종료된 이후 52년이나 걸린 셈이다. 무인 달 탐사선이 지구를 출발한 지 7일 17시간, 총 비행 거리는 약 63만㎞였다고 한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는 평균 38만4000㎞다.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는 지구 지름의 약 30배 정도 되고 달로 치면 약 110배 거리에 해당된다. 2024년 올해의 보름달은 지난 24일 12시 30에 나타났고 2월의 보름달은 미국 원주민이 스노우문(Snow Moon)이라고 부르는데, 흰 눈이 내리는 겨울의 달이라는 뜻이다.
달의 주기는 29.5일이므로 매달 보름달이 뜬다고 할 수 있지만 때로는 한 달에 두 번 보름달이 뜰 수도 있다.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블루문'이라고 한다. 달의 공전 주기가 27.3일이고 달의 위상변화 주기는 29.5일이다. 그런데 양력에서의 한 달은 2월을 제외하고는 30일과 31일이다. 이 때문에 한 달중 1일경에 보름달이 뜨면 30일이나 31일경에 다시 보름 달이 뜨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보름달을 풍요의 상징으로 보는 동양과 달리 서양에서는 보름달을 불길한 것으로 인식하여 한 달에 두 번이나 뜨는 보름달을 재수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블루문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천문학적으로 볼 때 보름달은 아주 잠깐 나타나는 현상으로 우리의 육안으로 볼 때 바로 이 순간을 중심으로 며칠 동안 보름달처럼 보이는 것 뿐이다.
2024년에는 12개의 보름달을 볼 수 있다. 8월, 9월, 10월, 11월에 뜨는 보름달은 '슈퍼문'이라고 하는데 평소보다 더 크고 밝게 보이기 때문이다. 슈퍼문의 크기는 가장 작게 보이는 미니문과 비교해서 14% 정도 더 크고, 밝기는 30%정도 더 밝다. 슈퍼문이 뜰 때 거리가 가장 가까워지는데 약 2만3000㎞가 더 가깝게 된다.
정월대보름 오곡밥
정월대보름은 삼국유사에 찰밥으로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우리의 전통적인 문화다. 정월대보름은 음력으로 1월 1일 설날이 지나고 첫 번째 보름달이 뜨는 날이다. 예로부터 "설은 나가서 쇠어도 보름은 집에서 쇠어야 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중요한 날로 여겨왔다.
전통적으로 한 해의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고 다섯가지 곡식으로 지은 오곡밥과 약밥, 부럼 등을 만들어 먹었다. 땅콩, 호두, 밤, 잣 등 껍질이 단단한 견과류를 깨물어 부럼을 깬다고 하였다.
부럼의 정확한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부럼깨기는 부스럼을 깨물어 그것을 예방한다는 목적과 치아를 튼튼하게 한다는 주술적 차원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정월대보름에 먹는 절식으로 부럼외에 쌀, 보리, 조, 수수, 팥 등 다섯가지 이상의 곡식으로 지은 오곡밥과 고사리, 가지껍질, 시래기, 오이고지, 버섯, 박 등 햇볕에 말렸다가 물에 불려 진채식 나물로 먹었다.
물에 불린 찹쌀을 시루에 쪄서 꿀·참기름·대추 등을 섞은 후 간장·밤·대추·계피·곶감·잣 등을 넣어 시루에 찐 약밥과 김이나 취나물, 배춧잎에 밥을 싸서 먹는 복쌈과, 대보름날 아침에 술을 데우지 않고 조금씩 나누어 마시면 귀가 밝아 진다는 귀밝이술을 마시곤 하였다. 대보름날에는 세 집 이상 성이 다른 집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였다. /연윤열 (재)전남바이오진흥원 식품산업연구센터장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