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도 인연이 있는 것 같다. 만났다, 헤어졌다, 그러다 다시 또 만나는, 그런 인연 말이다. 필자와 그런 인연이 깊은 책이 있다. 니콜라스 네그로폰테가 쓴 '비잉 디지털(being digital)'이다.
처음의 인연은 1996년쯤이니까 30년이나 되었다. 대학로에서 출판사를 창업한 지 얼마 안 된, 신생출판사에서 무척 공을 들여 만든 책을 입수한 것이다. 기억이 좀 가물가물하지만 책과 함께 술도 곁들여 얻었던 것 같다. 번역자인 백욱인 교수와 발행인인 박영률 대표가 '비잉 디지털'이라는 원 제목을 '디지털이다'라고 바꾼 것에 대해 흐뭇하게 말했던 언어의 뉘앙스가 기억나고, 책을 온통 은박지같은 커버로 만들어놓았던 시각의 페티시도 아주 잊혀지지 않고 떠오른다.
다음 날인가 지끈지끈한 머리를 누르며 책을 펼쳤던 것 같다. 은박지를 둘러싼 양장본이라서 책의 어포던스가 손가락과는 잘 맞았던 듯 싶다. 그러나 '비트는 색깔도, 무게도 없다'느니, '빛의 속도로 여행한다'느니 하는, 모르는 언어 투성이에 생소했고, '대역폭(bandwidth)이란 특정 채널로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을 말한다'란 문장에 다다르면 주눅이 많이 들었다.
그렇게 반짝이는 은박지를 책꽂이에 꽂아만 두고, 설핏 지나치기만 하면서 20여년을 살았다. 그 사이 결혼을 해서 분가를 하고, 아이를 낳아 집도 몇 번 이사를 했지만 '디지털이다'는 어김없이 책장에서 버젓하게 빛나고 있었다. 아니 '언제가 나를 안보면 큰 일 날걸'하는 압박감은 더욱 커지기만 했다.
그러다 코로나 팬데믹이 왔고, 부천시평생학습센터에서 강의 요청이 들어왔다. 강의 주제는 '평생학습 디아스포라, 새로운 소외의 탄생'이었다.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에 의한 소외 현상을 설명하는 기회였다. 드디어 '디지털이다'를 다시 꺼내 들려 했는데, 아뿔싸 은박지 책이 온데간데 없다. 집을 온통 뒤지고, 그러다 못해 충주로 달려가 연구실을 또 한번 뒤집어 놓았지만 은박지는 보이지 않았다. 찾아보니 그제서야 중고서점에 팔려나간 은박지가 기억났다. 오래되고, 헤진 책이라고 값을 한 푼도 받지 못한 기억도 살아났다.
부랴부랴 도서관에서 빌린 '디지털이다'가 어찌나 반갑던지. 그 때 머리에 들어 온 문장이 지능의 거처였다. 지능은 서로 다른 두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송신기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당신만을 위한 비트가 골라진다. 비트는 걸러지고, 잘 정리되어 당신에게 전달되며 당신의 집에서 인쇄된다. 그러나 편집 시스템이 수신기에 달려 있는 경우 지능은 수신기에 위치하고 송신기는 모든 비트를 모든 사람들에게 무차별 전송된다.
그렇다. 이미 30년 전에 지능은 디지털 전환하여 비트로 전송되었다. 우리는 네트워크 안에 내 지능을 보관해 두었다. 마치 잃어버린 은박지 책을 도서관에서 꺼내 쓰듯이 말이다.
또 시간이 지나 이번엔 논문을 쓰려고 도서관을 다시 찾았다. 그런데 은박지가 보이지 않았다. 어찌된 일인지 '디지털이다'는 보존서고에 묻혀 있었다. 30년이 지났으니 이젠 폐기처분하려나 보다. 앞으론 또 어떻게 만나나? 잠시 걱정하다 문득 생각이 머물렀다. 디지털북을 찾으면 되지. /임경수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수/성인학습지원센터장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