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코코아 가격 역대 최고치에 제과업계 한숨

가나초콜릿/롯데웰푸드

초콜릿의 주원료인 코코아 가격이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제과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코코아 가격이 지속 상승하면 초콜릿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초콜릿은 제과 뿐 아니라 아이스크림, 음료 등 대부분의 가공식품에 활용되기 때문에 가격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된 코코아 가격 선물은 전 거래일 대비 4.7% 오른 톤(t)당 7049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코코아 선물 가격은 올해 현재까지 약 68% 올랐다. 지난해 코코아 최대 생산국인 가나, 코트디부아르 등 서아프리카에 닥친 가뭄에 이어 올해 초 폭우로 작황이 나빠져 생산량 감소로 이어진 탓이다.

 

게다가 가나와 코트디부아르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어 농가 생산자들이 기상기후에 따른 감염병 예방 설비와 종자에 투자하지 못해 향후 생산량도 줄어들 전망이다.

 

마트에 빼빼로가 진열되어 있는 모습/뉴시스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최근 가격 급등의 원인으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현지 생산비 급등, 금 채굴업자들의 경작지 훼손, 코코아 가격을 결정하고 유통하는 정부의 부패 등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서아프리카 지역의 코코아 생산량이 단시간에 회복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네슬레, 허쉬 등 글로벌 기업들은 제품에서 초콜릿 함량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국내 제과업계도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수개월치 원재료를 미리 수매해 두지만 재고가 바닥을 보이면서 원가 압박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초콜릿 시장 점유율 1위인 롯데웰푸드는 가나에서 생산한 코코아 원료를 수입해 제품을 만든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가나 등 서아프리카 산지 생산량이 크게 줄면서 다른 생산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여러 기업에서도 수요가 몰리다 보니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초코파이/오리온

오리온은 코코아를 가공한 코코아매스를 수입해 초코파이 등 제품을 만든다. 코코아매스는 중간 가공업체를 거치기 때문에 코코아 가격 상승으로 인한 충격이 비교적 작지만, 연일 원재료 가격이 오르고 있어 수입업체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유업계와 카페 프랜차이즈 업계도 코코아 가격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미리 구매해둔 코코아 재고가 남아있어 당분간 제품 생산에는 차질이 없지만, 코코아 가격 상승 폭이 심상치 않다"며 "코코아 생산량이 안정화되지 않는다면 불가피하게 함량을 줄이거나 가격 인상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