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저축은행 대출 조였더니...카드론 대출 몰리면 금리 상승

카드업계의 조달 비용이 내리고 있지만 카드대출 금리는 내려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저축은행 등 타 제2금융업권이 대출을 조인 영향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카드론(장기카드대출) 중저신용자 평균 금리는 법정최고금리(20%)에 육박하고, 전체 카드론 평균 금리는 몇 개월째 14%대를 유지하고 있다.

 

2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신용등급이 AA+인 카드 3사(신한·삼성·KB국민카드)의 3년물 여신전문금융사채(여전채) 평균 금리가 연 3.876%로 집계됐다. 3개월 전인 11월 말 기준 4.285%와 비교해 0.409%포인트 떨어졌다. 여전채 금리는 지난해 10월 말(4.939%) 연중 최고점을 찍은 뒤 금리인하 전망세에 하향 안정세를 띠고 있다. 은행처럼 수신기능이 없는 카드사는 통상 대출 등 사업에 필요한 자금의 70% 가량을 여전채를 통해 조달한다. 이 여전채 금리는 카드론 등 대출상품의 금리에도 2~3개월의 기간을 두고 반영돼, 조달금리가 내리며 대출금리가 내릴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지난달 기준 7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우리·하나)의 평균 카드론 금리는 14.4%로 3개월 전(14.3%)보다 1%포인트 높아졌다. 롯데카드가 15.58%로 가장 높았고 우리카드 14.87%, 하나카드 14.70%, 신한카드 14.36%, 삼성카드 14.15%, 국민카드 14.30%, 현대카드 12.9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고 뉴시스가 전했다. 이는 저축은행 등에서 대출을 조이며 카드사로 대출이 몰렸고, 카드사들이 501~700점대 중저신용자의 대출금리를 높인데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과반수의 카드사가 이들 점수대의 차주에게 대출금리를 높였다. 601~700점대의 경우 롯데카드가 16.13%에서 17.88%로, 삼성카드 17.09%에서 17.54%, 현대카드 16.15%에서 17.19% 하나카드 16.23%에서 16.35% 등으로 금리를 높였다.

 

501~600점를 보면 현대카드가 17.81%에서 19.50%로, 신한카드 19.15%에서 19.18%로, 국민카드 18.85%에서 19.15%, 삼성카드 17.85%에서 18.87% 등으로 올렸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업계가 과거 2%대 금리로 자금을 조달했던 것을 고려해 볼 때 여전히 시장금리가 높은 편"이라며 "여기에 부실한 영업실적과 저하된 건전성도 자금조달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