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숭고한 직업, 의사 되는 길’ 주사위는 학생들 손에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의사라는 직업은 사람의 생명을 다루기에 숭고합니다. 선망의 대상인 동시에 사회의 존경과 사랑을 받지만, 무거운 사회적 책임 또한 뒤따릅니다. 6.25 전쟁 당시 포탄이 날아드는 교실에서도, 엄중한 코로나 방역 상황에서도 우리는 책을 놓지 않았습니다."

 

가천대와 가천대길병원 설립자 이길여 총장의 호소가 눈길을 끌었다. '의대 증원'에 반발한 의대생들의 집단행동이 2월 20일 시작 이후 8주 차에 접어든 가운데, 이 총장이 의대생들에게 보내는 글이다.

 

가천대 의대는 1학기 학사 일정상 대량 유급 사태를 피하고자 지난 1일 개강해 온라인 수업을 진행 중이지만, 현재 수업 참여율은 저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황은 다른 대학도 마찬가지다. 경북대 의대는 8일부터 수업을 재개했지만, 실제 강의실은 텅 빈 모습이다. 학생 불참을 예견한 대학이 비대면으로 수업을 진행하기로 하면서 교수진이 자료를 올려 놓으면 학생들이 다운받아 온라인으로 수강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하지만 학생 수업 참여율은 극도로 저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대의대도 이날 개강했고 전남대도 이달 중순부터 예정된 학사일정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처럼 기 개강 대학에서도 의대생 참여율은 낮고, 의정갈등도 팽팽하게 이어지는 가운데 대학들이 속속 강의를 재개하는 이유는 학생 때문이다. 개강 및 수업을 더 미룰 경우 학생들이 집단 유급에 처하고 본과 4학년은 졸업하지 못해 의사 국가고시에 응시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물론, 대학들이 의대 수업을 재개하고도 학생들이 출석을 거부할 경우, 출석 일수 미달로 특정 과목에서 낙제(F)를 받아 유급 받게 된다. 유급 시 학생들은 등록금도 돌려 받을 수 없다.

 

주사위는 의대생 손으로 넘어왔다. 그동안 학생을 보호하기 위해 휴강과 개강 연기를 이어온 대학들이 '막바지' 개강을 결정하며 '수업일수' 미달로 인한 유급 위기는 모면했다. 하지만 학생들이 수업 거부를 이어갈 경우 '출석 일수' 미달로 인한 유급은 막을 수 없다. 사태가 길어질수록 결국 학생 피해가 누적됨을 잊으면 안 된다.

 

"여러분이 강의실로 돌아올 때, 지금 하루하루 위급상황에서 노심초사하며 절망하고 있는 환자와 그 가족, 국민 모두 작은 희망을 품게 될 것입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