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전자·차·조선 노조 투쟁 압박 고조…글로벌 경기 침체속 부담 가중

전국삼성전자노조가 29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앞에서 임금 교섭 결렬 파업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뉴시스

한국 경제를 이끄는 반도체와 자동차, 조선 등 산업계가 글로벌 경기 침체와 노사 갈등에 따른 잇따른 악재로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사내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하 전삼노)이 이날 파업을 선언했다. 이는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처음이다.

 

전삼노의 파업 선언은 올해 임금협상을 위한 전날 교섭이 파행한 지 하루 만에 이뤄졌다. 전날 교섭에서 노사 양측은 사측 위원 2명의 교섭 참여를 놓고 극심한 갈등을 빚었다.

 

전삼노는 "사측이 교섭에 아무런 안건도 준비하지 않고 나왔다"며 파업 선언에 이르기까지의 책임을 사측에 돌렸다.

 

현재 전삼노 조합원 수는 2만8000여명에 달한다. 이는 삼성전자 전체 직원(약 12만5000여명)의 22% 수준이지만 이들이 대대적으로 파업에 돌입할 경우 삼성전자에는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해 주력 사업인 반도체부문이 업황 부진으로 14조8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사측엔 이번 파업이 큰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삼노는 즉각적인 총파업에 나서는 대신 연차 소진 등의 방식으로 단체행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당장 전삼노 집행부는 조합원들에게 오는 6월 7일 하루 연차를 소진하라는 지침을 전달했다. 앞서 삼성전자 사측과 전삼노는 지난 1월부터 교섭을 이어갔으나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자동차와 조선업계도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에서 노사간 갈등으로 뒤숭숭하다. 자동차와 조선업계는 현행임금 수준을 유지하면서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어 기업들의 부담은 확대되고 있다.

 

지난 23일 현대차 노사 관계자들이 울산공장 본관에서 임금협상 교섭 상견례 당시 모습/현대차

현대차와 기아 노조는 임단협 교섭에서 사측과 팽팽한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다. 양사 노조는 기본급 15만9800원 인상과 국민연금 수급 시기와 연계한 정년 연장, 주 4.5일제 도입 등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임금은 지난해보다 올리면서 노동 시간은 줄이자는 것이 노조의 주장이라는 점에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슈퍼 사이클에 들어서고 있는 조선업계도 임단협을 둘러싼 노사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현대중공업·현대미포·삼호중공업 등 HD현대그룹의 조선 3사 노조는 공동요구안으로 기본급 15만98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국민연금 수령과 연계한 정년 연장, 임금피크제 폐기 등을 요구안에 담았다. 조선사들이 장기 불황을 끝내고 흑자로 돌아서면서 노조가 공세를 강화하는 모양새다.

 

한화오션의 경우 지난해 이견을 보인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지급 방식을 두고 협상을 이어갈 전망이다. 앞서 한화오션은 지난해 5월 한화그룹으로 인수되며 RSU를 지급하기로 했지만 지급 조건을 놓고 노사 이견을 보였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7월 현장 근로자를 중심으로 처음 노조를 결성한 만큼 올해 임단협에 대한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산업계 관계자는 "올해 임단협은 임금 인상 뿐만 아니라 정년 연장이라는 이슈가 있어 기업들의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며 "글로벌 경기침체와 고금리·고물가가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기업들의 부담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노사간 협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