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식문화의 세계화' 물심양면 뒷받침
서울 북촌에 가면 '한식문화공간 이음'이라는 공공 문화시설을 만나볼 수 있다. 이곳에는 내외국인 방문객 대상의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 방문객들은 요리교실을 통해 음식을 직접 만들어 보고, 매월 초빙되는 명사(名士)의 강연도 들을 수 있다. 또 우리 고유의 식문화 및 식기 등을 주제로 한 전시회 감상도 가능하다.
한식문화공간 이음은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한식진흥원(제6대 이사장 임경숙)에서 운영하고 있다. 최근 이곳에 우리 음식 조리법을 배우려는 외국인들 발길이 부쩍 잦아졌다.
진흥원은 최근 높아진 한식의 위상 덕에 할일이 많아졌다. 해외 도처의 우수 한식당을 세계인에게 알리는 작업을 선도하고 지원하는 동시에, 젊은 셰프(요리장) 발굴에도 팔을 걷어붙였다.
진흥원은 최근 '2024 한식 영셰프 육성 교육과정 지원사업' 대상 기관을 모집했다. 이는 한식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전문교육기관을 진흥원이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를 통해 교육기관은 현장 역량강화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고 청년 셰프 발굴·육성에 나선다.
20대 위주의 젊고 유망한 한식 셰프 및 전문가 양성이 목적이다. 이는 국내외 미식업계에서 한식의 영향력이 커진 데 따른 공공사업 추진 방향이기도 하다.
올해는 한식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5개 기관 소속의 조리 관련 전공자들을 지원한다. 또 올해 하반기 인턴십 프로그램과 연계해 이 사업을 진행한다. 이에 '2024 한식당 영셰프 발굴 인턴십 프로그램' 운영을 희망하는 음식점 및 한식업 운영기업 모집도 완료했다.
이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식당을 대상으로 교육지원비를 최대 1000만 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프로그램을 수료한 인턴 근로자에게도 60만 원 상당의 장려금을 지급한다.
진흥원 관계자는 "이 사업이 우수 한식당의 역량 교육을 지원하는 동시에 인턴 고용을 장려하는 데 의의가 있다"며 "셰프를 꿈꾸는 청년들의 정착을 지원하고, 전문가로 도약할 수 있는 성장의 발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한식진흥원은 한식산업의 진흥과 관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추구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국가경제 발전에 보탬이 되도록 힘쓰고 있다"라고 밝혔다.
진흥원은 한식의 역사성·문화성에 중점을 둔 기술 연구개발(R&D)을 통해 원형을 발굴·복원·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해 왔다. 또 세계 시장에서 한식당 위상을 높이는 데 주력한다. 이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관련 산업화의 기반 조성을 도모한다. 아울러, 한식제품이 세계 각 대륙에서 보편적으로 인식되고 매력 있는 음식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물심양면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특히, 국제무대에서 한식의 우수성을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서는 한식의 정통성 정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진흥원 관계자는 "우리 민족의 얼이 담긴 한식을 지구촌 브랜드로 키워내, 세계인의 입맛에 맞는 음식으로 육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미식 트렌드를 이끄는 미국 뉴욕 외식업계에서도 한식의 인기는 뜨겁다. 지난해 '미쉐린가이드 뉴욕 2023'에 등재된 식당 71곳 중 15%인 11곳이 한국 식당일 정도다. 이 중 뉴욕을 대표하는 모던 한식 레스토랑 '아토믹스'는 미식업계 최고 권위의 '2023 월드베스트 50 레스토랑' 어워드에서 전미(全美) 1위에 오른 바 있다.
한식의 인기는 미국뿐만이 아니라 세계 도처로 확산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우리 음식과 식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해외 현지에 있는 한식당의 존재감 또한 커졌다. 과거 한식당은 주로 한인타운에서 교민이나 한국인 여행객을 대상으로 영업했다. 최근에는 도시 중심가에 위치해, 전문 셰프를 중심으로 고급화된 요리를 선보이며 현지인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는 게 진흥원 측 설명이다.
정부 차원에서도 한식의 국제적 입지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그중 하나로 농식품부와 진흥원이 시행 중인 '해외 우수 한식당 지정제'가 있다. 이는 품질 향상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한식진흥법에 근거해 지난 2022년 시작됐다. 지난해 총 13곳이 우수 한식당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뉴욕과 파리, 도쿄에 자리하고 있다.
해당 우수 한식당은 미국 뉴욕의 ▲정식(Jungsik) ▲아토믹스(Atomix) ▲윤해운대갈비(Yoon Haeundae Galbi) ▲꽃(Cote Korean Steakhouse) ▲수길(Soogil) ▲주아(Jua) 등 6곳, 프랑스 파리의 ▲순그릴마레(Soon Grill Marais) ▲종로삼계탕(Jongno Samgyetang) ▲이도(Yido) ▲삼부자(Sambuja) ▲맛있다(Ma-shi-ta) 등 5곳, 일본 도쿄의 ▲윤가(Yunke) ▲하수오(Hasuo) 등 2곳이다.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아토믹스'는 국산 쌀, 전통식품 명인의 장, 고춧가루 등을 활용해 음식을 만든다. 독특한 식기와 플레이팅, 고객을 위한 최고의 환대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식당으로 2020~2022년 3년 연속 '미쉐린가이드 별 2개'를 받았다.
한국식 바비큐를 선보이는 고깃집 '꽃'은 식탁 위 불판에서 고기를 굽는 상차림과 풍성하게 곁들이는 반찬 등 우리식 문화를 스테이크 하우스에 접목했다. 국산 간장과 고추, 소금을 활용해 만든 반찬 역시 일품이다.
'수길'은 한식에 프렌치 테크닉을 더해 선보이는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이다. 전통 식품 명인이 만든 된장·고추장 등 한국 식재료를 활용한 한국적인 맛과 프랑스의 맛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다. 이 음식점은 뉴욕타임스에도 소개된 바 있다.
파리에 위치한 '순그릴마레'는 인테리어까지 세심한 공을 들여 한식의 품격을 높이는 데 집중했다. 백자와 유기를 활용한 인테리어를 통해 고풍스럽고 아늑한 한국적 분위기를 조성한다. 메뉴는 생삼겹살, 소갈비, 돌솥비빔밥, 파전 등 다양하다.
도쿄의 '윤가'는 궁중요리부터 가정식까지 다양한 메뉴를 갖췄다. 강원 영월 잣과 지리산 오디소금, 충북 보은 대추 등 국산 지역 식재료를 사용해 코스요리를 낸다. 윤가의 윤미월 셰프는 배추김치의 원형인 '숭심채'를 외조모와 모친에 이어 3대째 전승 및 구현해 지난 2015년 대한민국 식품명인으로 선정됐다.
한식진흥원은 '정식' 측의 소감을 전했다. 이 음식점의 박수영 디렉터는 "해외 우수 한식당 지정 이후 국산 식재료부터 명인들이 만든 고품질의 제품까지 공급받고 있다"며 "경제적 부담을 덜고 신메뉴 개발에 매진할 수 있어 큰 도움이 된다"고 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