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평년보다 무더운 여름이 예상되면서 빙과업계의 실적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국내 빙과류 양대 산맥인 롯데웰푸드와 빙그레는 대표 제품 외에 '제로' 라인업을 늘리는가 하면, 해외 수출도 늘리는 모습이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기준 빙그레는 전 거래일 대비 8800원 오른 9만8900원에 거래됐으며, 롯데웰푸드는 전일 종가에서 1만200원 오른 16만 8800원에 거래됐다. 양사 모두 장 초반 52주 최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빙그레와 롯데웰푸드의 주가 상승은 올해 예고된 폭염 때문이다.
실제로 증권사들은 빙그레와 롯데웰푸드의 목표주가를 일제히 상향 조정했다. 한화투자증권은 최근 롯데웰푸드가 신제품 출시 등으로 국내외 이익 개선이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19만원에서 22만원으로 올렸다. IBK투자증권은 빙그레의 올해 목표 주가를 기존 8만3000에서 1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앞서 기상청은 3개월 전망을 통해 올해 6월과 8월 기온이 평년기온과 비교해 높을 확률이 50%라고 밝혔다. 10일 대구와 울산 등 영남 일부 지역에는 올 여름 첫 폭염주의보가 내려졌다. 폭염주의보는 일최고체감온도가 33도 이상인 상황이 이틀 이상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면 내려진다.
빙과업계는 올 여름을 매출 반등의 기회로 보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지난 4월 제로 칼로리·저당 트렌드에 초점을 맞춰 '스크류바'와 '죠스바'를 제로 칼로리로 출시했다. 출시 1개월 만에 약 720만 개가 팔리면서 뜨거운 인기를 누렸다.
이어 무설탕 디저트 브랜드 '제로' 아이스크림 라인업을 늘렸다. '제로 트리플 초콜릿 바' '제로 쿠키앤크림 바와 홈타입 2종' '제로 딥 초콜릿 파인트' '제로 쿠키앤크림 파인트' 등을 선보였다. 빙그레도 이에 질세라 제로 칼로리 아이스크림인 '파워캡 블루아이스 제로' '폴라포 커피 제로슈거'를 시장에 내놨다.
빙그레는 해외 사업도 순항중이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미국으로 수출되는 아이스크림의 약 70%가 빙그레 제품이다. 빙그레는 미국과 중국, 베트남 국가에 현지 법인을 두고 이를 거점 삼아 캐나다, 북미, 동남아 등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수출국가 수는 30개에 달한다. 대표 수출 제품인 '메로나'의 경우 국가별로 선호하는 맛을 반영, 현지화 전략을 펼쳐 해외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빙그레의 아이스크림 해외 수출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1년에는 426억 6100만원, 2022년에는 593억7400만원, 지난해 688억4700만원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무더위 소식에 빙과 업계의 시장 점유율 늘리기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에서는 제로 상품으로 소비자를 공략하고 해외에서는 현지 입맛에 맞는 제품 개발로 인지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