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정책

국내 첫 기술평가 오픈플랫폼 'K-TOP' 첫 선

중기부·기보, 은행·협회·공공기관들과 '공동 활용 업무협약' 체결

 

기보, 30년 축적 기술평가 역량 집약…기술평가 정보 활용 넓어져

 

吳 장관 "정보 비대칭 해결…기술금융 발전 핵심 도구 부상 기원"

 

장관, '한-UAE 중소벤처협력 간담회'도 참석…기업들 건의 청취

image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왼쪽 8번째)이 19일 오후 서울 중구 브이스페이스에서 열린 기술평가 오픈플랫폼 'K-TOP 공동활용 업무협약식'에서 협약을 체결한 후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중기부

국내 최초로 기술평가 오픈플랫폼 'K-TOP'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기술보증기금은 'K-TOP'에 30년간 축적한 기술평가 역량을 고스란히 담았다.

 

이에 따라 기보가 그동안 보증심사 목적으로 생산해왔던 기술평가 정보를 앞으론 기업 뿐만 아니라 은행, 공공기관 등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

 

K는 'Kibo', TOP는 'Technology-rating Open Platform'의 약자다.

 

중소벤처기업부와 기보는 19일 오후 서울 브이스페이스에서 민간주도 기술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K-TOP 공동활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한국벤처투자,한국벤처캐피탈협회,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발명진흥회가 협약 대상이다.

 

K-TOP에는 기보의 3가지 인공지능(AI) 기반 기술평가 핵심 콘텐츠가 담겨 있다. 기보는 이들 콘텐츠를 등급화·수치화한 형태로 제공하고 은행 등이 이를 검색·조회할 수 있다.

 

먼저 신속표준 모형인 'KTRS-FM'은 창업초기기업(3년)과 신속 보증 지원평가에 최적화한 AI기반의 평가 모형으로, 자가진단을 통한 기술사업 평가등급을 제공한다. 등급은 AAA부터 D까지 총 14개다.

 

'기업혁신역량지수(Tech-Index)'는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역량을 의미하는 객관적 점수(0~100점)로 기업이 보유한 혁신역량 및 미래성장가능성 등을 지수로 제공한다.

 

'원천기술 평가모델'은 기술개요만 입력해 원천기술의 특성을 자동으로 평가하는 AI 기반 모델로, 원천기술 등급이나 기술의 생성·확장·소멸주기 파악 등 기술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등급은 10개로 구분한다.

 

이번에 최초로 구축한 K-TOP를 통해 기업은 기술 역량을 스스로 진단해 혁신활동을 이어갈 수 있을 전망이다. 또 은행, 투자기관은 기업 선정과 심사시 기술평가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돼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및 융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공공기관 역시 각 정책 목적에 맞게 사업 수행 역량을 높일 수 있다.

 

이날 협약을 통해 참여 기관·단체들은 ▲K-TOP를 활용한 혁신성장 중소기업 발굴 및 지원 ▲K-TOP 개방 및 공동 활용 ▲기술평가 활성화를 위한 K-TOP 관련 데이터 공유 및 상호협력 등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이번 업무협약은 중기부가 지난 4월 29일 발표한 '중소기업 도약전략'의 첫 번째 후속조치"라며 "K-TOP가 중소벤처기업과 금융기관 간의 정보 비대칭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소해 대한민국 기술금융 발전을 위한 핵심 도구로 부상하기를 기원한다"고 강조했다.

image

한편 오 장관은 이날 오전엔 '한-UAE 중소벤처협력 간담회'에 참석해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에 진출한 중소·벤처기업의 건의사항을 청취하고, 한국과 UAE 정부 간 협력성과를 확인했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달 29일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의 국빈 방문 시 이뤄진 중기부-UAE 경제부 간 '한-UAE 중소벤처위원회 신설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중소·벤처기업이 UAE 시장에서 직면하는 애로와 건의사항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자리에는 UAE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중소·벤처기업과 양국 지원기관 및 투자자 등이 함께 했다.

 

정부는 그동안 우리 중소·벤처기업의 성공적인 UAE 진출을 위해 UAE 정부와 협력해왔다.

 

지난해 1월 윤석열 대통령의 정상 순방 계기로 개정한 '한-UAE 중소기업·스타트업 협력 양해각서'를 기반으로, 양국 기업 간 교류 기회를 지속적으로 만들어왔다.

 

작년 3월에는 UAE 두바이에 중소기업 글로벌화 밀착 지원거점인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GBC)를 열었다. 올해 4월29일에는 두바이 재외공관 중소기업 원팀 협의체를 신설했다.

 

연내 개최할 첫 정책협의체에선 우리 기업들의 원활한 UAE 진출을 위한 제도 개선 사항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오 장관은 "UAE 진출기업의 애로사항은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와 재외공관 중소기업 원팀협의체를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정책협의체에서 논의하는 체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