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100엔당 850원대…'바닥 뚫린' 원·엔 환율, 16년 만에 최저

원·엔 환율, 지난 28일 100엔당 855.60원에 마감…16년 6개월 만의 최저치
美-日 통화정책 차이에 엔화 약세 지속…日 당국 환율 개입에도 약세 심화
전문가들, "정책변화 없이 엔화 가치 상승 어려워…당분간 약세 계속될 것"

서울 하나은행 위변조센터에서 직원이 엔화를 정리하고 있다./뉴시스

엔화 약세가 심화하면서 원·엔 환율이 100엔당 850원대로 떨어져 16년 만에 최저치(엔화 가치 최저)를 기록했다. 계속되는 '슈퍼 엔저'에 국내 엔화 예금 규모가 빠르게 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엔화 약세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8일 원·엔 환율은 서울외환시장에서 100엔당 855.60원에 마감했다. 이는 작년 11월 기록한 연중 최저치인 858.38원보다 낮은 수준으로, 지난 2008년 1월 10일 기록한 855.47원 이후 16년 6개월 만에 최저치다.

 

같은 날 도쿄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도 장중 161.20엔까지 치솟아 37년 6개월 만에 최고치(엔화 가치 최저)를 경신했다.

 

이에 따라 향후 환율 상승에 따른 차익을 기대한 엔화 매수 및 일본 관광을 준비하는 환전 수요도 늘어 국내 엔화 예금 규모도 빠르게 증가했다.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의 엔화 예금 잔액은 지난 27일 기준 약 1조2924억엔에 달한다. 지난해 말 기록한 1조1330억엔 대비 반년 만에 1594억엔(14.1%) 늘었다.

 

이번 엔화 가치 하락은 미 연준(Fed)의 금리 인하가 지연되는 기운데 일본은행이 소극적인 통화정책을 지속해 5.4~5.5%포인트(p)에 달하는 미국과 일본 간의 금리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어서다.

 

미 연준은 지난 1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후 발표한 점도표를 통해 연내 금리 인하를 1회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3월 발표한 점도표에서 2회 줄어든 전망으로,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가 오는 9월 이후 1~2차례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시장에서는 일본은행이 엔화 약세 극복을 위해 FOMC 직후 개최되는 금융정책회의에서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그러나 일본은행은 지난 14일 금융정책회의 직후 기준금리를 기존의 연 0~0.1%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금리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엔화 가치는 계속해서 하락했고, 일본 정부는 지난 27일 개입을 천명했다.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상은 지난 27일 "엔화 약세가 일본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며 "긴장감을 갖고 움직임을 분석해 필요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정부개입 영향력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

 

앞서 일본 통화 당국은 지난 4월 말에도 엔화 가치 유지를 위해 85조원 규모에 달하는 시장 개입에 나선 바 있다. 엔·달러 환율은 한때 달러당 150엔대 초반까지 내렸지만, 다시 상승 전환해 지난 27일에는 달러당 160엔을 넘겼다.

 

전문가들은 엔화 약세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찬희 신한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엔·달러 환율은 하반기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와 더불어 일본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신뢰가 재확인되는 시점에 강세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며 "7월 회의에서 금리 인상 내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다면 7월 말 환율의 고점을 확인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전문위원은 "일본은행이 정책적 실기를 한 측면이 있어 7월 추가 긴축조치가 엔화 흐름을 전환시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며 "이미 엔화의 취약성이 노출된 상황에서 투기 세력의 엔화 약세 공격이 진정될 지 불투명하며, 불안이 지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