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발간된 증권사들의 종목 리포트가 대형주로 쏠림과 동시에 '매도'는 단 2건으로 나타났다. 증권사들의 편향된 종목 리포트 흐름은 꾸준히 지적되고 있지만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증권사에서 가장 많이 발간한 삼성전자 리포트 총 127건의 투자의견이 모두 '매수'로 집계됐다. 총 102건이 나온 SK하이닉스의 경우에도 98건이 매수였지만, 4건은 '보유'(Hold)를 제시하기도 했다. 지난해부터 증권사들은 '10만전자' 기대감을 놓지 않고 있지만 삼성전자의 주가는 여전히 8만원대에 머물고 있는 상황이다.
증권사들이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리포트를 한 번이라도 발간한 상장사는 총 934곳으로, 전체 상장사 2703곳 중 34.55%에 불과했다. 이 중 코스피는 380곳, 코스닥은 554곳으로 리포트가 전무한 상장사는 코스피와 코스닥 각각 45.13%, 31.87%씩인 셈이다. 사실상 국내 증시에 상장된 기업 중 60% 이상의 투자 관련 기업 정보·평가 등이 제공되지 않는 셈이다.
그마저도 대형주에 편중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올해 상반기 증권사 리포트 발간 상위 5개 종목인 삼성전자(127건), SK하이닉스(102건), 네이버(97건), 현대차(88건), 기아(83건)의 리포트 총합은 497개이다. 단 5개 종목이 코스피 종목에서 나온 리포트 7377개 중 6.73%를 차지한다. 게다가 해당 리포트 중 '매도' 리포트는 0개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애널리스트들의 주 고객인 기관 투자자들이 대부분 대형주에만 투자하는 경우가 많고, 기본적으로 기업을 분석하고 유니버스를 형성할 때 좋은 기업을 선정한다"며 "특히 중소형사 리서치들은 인력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큰 종목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2010년 1575명이었던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 수는 지난해 1082명으로 31.3% 줄어들었다.
이렇듯 '깜깜이 투자' 우려가 계속되고 있지만 개선되는 모습은 미흡하다. 올해 들어 지난달 20일까지 발행된 기업 보고서 8662건 중 투자의견을 '매도'로 제시한 경우는 2건(0.02%)이며, 사실상 매도로 해석되는 '비중 축소'도 4건(0.05%)에 그쳤다. 반면, '매수' 의견은 8012건(92.5%)으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보유'는 636건(7.34%), '강력매수'는 8건(0.09%)으로 집계됐다. 공격적 성향을 지닌 투자의견인 '강력매수' 의견이 '매도'와 '비중축소'의 합보다 많은 것이다.
한 증권사 연구원 A씨는 "우리나라는 개인 투자자들의 단타 비중이 굉장히 높아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에 대한 매도 콜에 테러 수준의 예민한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며 "국내 시장은 기업들도 다소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만큼 기업금융(IB) 등 비즈니스적인 측면에서의 불이익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애널리스트 의견을 의견으로만 받아들이는 투자 문화가 정착돼야 한다는 제언이다.
코로나19 이후 국내 주식시장에는 개인 투자자들이 대거 유입됐다. 이와 함께 단타 문화가 형성되면서 '매도' 리포트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상황이다. 지난해 광풍을 일으켰던 에코프로의 매도 리포트가 처음 나왔을 때, 개인 투자자들은 금융감독원에 해당 애널리스트가 공매도 세력과 관계가 있다는 민원을 넣고, 출근길을 막아 서며 욕설을 퍼붓는 등 공격적인 모습을 보였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