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럭셔리카 브랜드 '마세라티'가 한국법인을 공식 출범하고 시장 공략에 나선다.
그동안 마세라티는 국내시장에서는 공식 법인 없이 딜러사를 통해 차량을 수입 판매하는 방식으로 운영했지만 직진출하는 형식으로 한국 시장 점유율 확대애 나선것이다. 이는 최근 국내 럭셔리카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영국 정통 럭셔리카 브랜드 애스턴 마틴 등이 적극적으로 마케팅에 집중하는 것과 비슷한 모습이다
마세라티 코리아는 3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마세라티 코리아: 새 시대의 서막' 행사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마세라티 코리아는 포르자모터스코리아(FMK)의 국내 총판 계약을 종료하고 모회사인 스텔란티스코리아 사업 부문으로 새출발한다. 수장은 기무라 다카유키 아태지역 총괄대표가 겸임한다. 총판 계약이 완료된 FMK는 마세라티 딜러사를 맡게 된다.
마세라티가 한국 시장 직진출을 결정한 이유는 판매량 부진이 가장 크다. 실제 페라리, 람보르기니와 함께 이탈리아 3대 명차 브랜드로 불리는 마세라티는 국내 시장에서도 한때 수많은 소비자들의 '드림카'로 꼽혀왔지만, 최근 5년 사이 판매량이 급감했다.
마세라티는 준대형 세단 '기블리'·준대형 SUV '르반떼' 인기에 힘입어 지난 2018년 연간 1660대 판매량을 기록했지만 2020년부터 1000대를 밑돌고 있다. 2020년에는 연간 판매량 932대, 2021년 842대, 2022년 554대, 지난해 434대로 판매량이 급감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155대 판매하는데 그쳤다.
마세라티는 이달 한국 법인 출범을 시작으로 이날 공개한 신차 2종 '뉴 그란투리스모'와 '뉴 그란카브리오'로 반등에 나선다.
뉴 그란투리스모는 역동적인 성능, 고급스러운 디자인, 안락한 승차감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2도어 스포츠카 쿠페다. 뉴 그란카브리오는 뉴 그란투리스모를 기반으로 제작된 4인승 컨버터블 모델이다.
뉴 그란투리스모 '모데나' 트림은 최고 출력 490ps 및 최대 토크 600Nm를 발휘하며, 뉴 그란투리스모 '트로페오'와 뉴 그란카브리오 트로페오는 최고 출력 550ps, 최대 토크 650Nm의 성능을 자랑한다.
또 올 연말에는 마세라티 글로벌 전동화 전략의 일환으로 100% 전기로 구동하는 폴고레 라인업도 국내에 도입할 방침이다. AS 서비스 등 네트워크도 강화한다.
루카 델피노 마세라티 CCO는 "한국 시장은 럭셔리 감성과 이탈리아 장인 정신에 대한 깊은 이해도를 갖춰 마세라티의 혁신적인 제품을 접하기에 매우 이상적인 고객층을 형성하고 있다"며 "한국은 미국과 독일, 중국 등에 이어 다섯번째로 큰 시장인 만큼 현지 시장에서 최고 품질의 제품으로 럭셔리한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수입차 업계에서는 마세라티가 직진출로 판매량을 확대하는건 쉽지 않다는 시각이 높다.
우선 마세라티가 기블리 등 보급형 모델을 출시하면서 '드림카'라는 이미지가 사라졌다. 또 수입차 시장도 메르세데스-벤츠와 BMW, 볼보 등을 제외하면 모두 보릿고개를 넘고 있다. 여기에 마세라티 코리아 수장을 기무라 다카유키를 선택했다는 점이다. 일본 대표가 한국 대표를 겸직하는 것이다. 토요타코리아 등 수입차 업체들이 한국인을 수장으로 선임해 현지화 전략에 집중하는 것과 상반된 모습이다.
업계 관계자는 "수입차 시장이 전체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이다"며 "한국 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에 최적화된 수장을 임명하는 것과 달리 일본과 한국을 겸직하는 대표를 수장으로 선임했다는 점도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