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전국 혼자 사는 중장년 680만명...1인가구 2/3가 40세 이상

60대 1위, 30대 2위
서울 1인가구 10년간 50만명 증가

/서울시 홈페이지 갈무리

 

 

비혼과 이혼 건수, 독거노인 등의 증가에 따라 중장년층 1인 가구가 가파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홀로 거주하는 가구 수가 올해 3월 역대 처음으로 1000만 개를 넘어선 가운데 40세 이상이 국내 전체 1인 가구의 2/3를 차지했다.

 

7일 행정안전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1인 가구 수는 1007만 개로 집계됐다. 5년 전인 2019년 6월과 비교해 177만 개 증가했다. 2019년 시작된 총인구 감소와 상반되는 흐름이다.

 

1인 가구 세대주 1007만 명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가 186만 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169만 명)와 50대(164만 명)가 그 뒤를 이었다. 20대, 40대, 70대도 각각 100만 명 이상이었다.

 

특히, 40세를 기준으로 구분할 시 40세 이상에서 혼자 거주하는 사람 수가 680만 명에 달했다. 이들은 전체 1인 가구의 67.5%로, 2/3를 넘는다. 이 중 80대와 90대도 각각 75만 명, 12만 명을 기록했다. 심화하는 고령화 추세 속 독거노인 수가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226만 명으로 국내 17개 주요 시·도 가운데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201만 명), 부산(65만 명), 경남(63만 명), 경북(59만 명), 인천(52만 명) 순으로 많았다. 세종이 5만6000명으로 가장 적었다.

 

경기와 서울의 경우, 두 지역 간 인구 격차가 430만 명까지 벌어진 반면, 1인 가구 수 차이는 25만 명에 불과했다. 서울 인구(936만 명)의 21.4%가 홀로 거주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경기지역 1인 가구 비중은 거주민 수(1366만 명)의 16.5%에 그쳤다. 서울지역 내 1인가구 수는 최근 수년간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 작년 6월 198만 개에서 올해 2월 201만 개로 1년간 3만 개 늘었다. 10년 전(151만 개)보다는 무려 50만 개 늘어났다.

 

전남은 1인 가구 비중이 24.0%로, 거주민 넷에 한 명꼴로 혼자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남지역은 전국 최고령 지역으로, 거주민 평균나이가 지난달 말 기준 48.8세에 달했다. 평균나이 2위에 자리한 경북 역시 1인 가구 비중이 23.2%로 매우 컸다.

 

주택산업연구원의 김덕례 주택연구실장은 지난달 중순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한 세미나에서 "인구 고령화로 인해 노인 독신가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청년들의 초혼 연령이 높아지면서 독신가구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혼, 사별 등으로 인해 독신가구가 늘어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전국 2인 가구 수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행안부 집계로, 지난 2014년 6월 전국 2인 가구 수는 422만 개였다. 10년 후인 올해 6월 기준 594만 개로 172만 개 증가했다. 결혼해도 아이는 갖지 않는 세태를 나타낸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