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이 글로벌 자산운용사로서의 면모를 드러내고 있다.
◆ '혁신적 ETF'로 인수 이후 급성장한 '글로벌X'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운용 자회사인 'Global X(글로벌엑스)'의 총 운용자산(AUM)이 500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9일 밝혔다.
글로벌엑스는 8일 기준 미국 현지에서 93개의 ETF를 운용하고 있다. 총 운용자산은 503억달러(원화 기준 69조 6000억원)로, 미국 현지 ETF 운용사 중 13위다.
글로벌엑스는 2018년 미래에셋그룹 박현주 회장(글로벌 전략 책임자·GSO)이 인수한 미국 ETF 운용사다. 인수 당시 100억 달러 수준이었던 운용자산은 2020년 말 209억달러, 2023년 말 425억달러로 증가했다. 올해 들어서는 6개월여 만에 70억달러 이상의 운용자산이 증가한 셈이다.
글로벌엑스는 2008년 설립됐으며 초기부터 차별화된 상품들을 선보여 미국 현지 투자자들에게 '혁신적 ETF 선두주자'로 평가받고 있다는 게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설명이다. 인공지능과 인프라 개발 등 혁신 선도 기업에 투자하는 테마형 상품과 커버드콜 전략으로 대표되는 인컴형 상품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QYLD US)'는 순자산 약 83억달러의 미국 대표 커버드콜 ETF다. 'QYLD' 등 글로벌엑스의 커버드콜 ETF 시리즈는 16개, 총 순자산 규모 129억달러에 달한다. 'Global X U.S. Infrastructure Development(PAVE US)'는 미국 인프라 건설과 관련된 원자재, 중장비, 건설업, 디지털 인프라 기업에 투자하는 글로벌엑스의 대표 테마형 ETF로, 투자자들의 꾸준한 관심 속에 순자산 약 73억달러 규모로 성장했다.
앞서 지난 4월 글로벌엑스는 라이언 오코너(Ryan O'Connor) 신임 CEO를 선임하며 '글로벌 Top Tier ETF Provider'로 도약하기 위한 '글로벌엑스 2.0 시대'를 시작했다. 라이언 오코너 CEO는 이번 500억달러 돌파를 기념하며 "글로벌엑스는 투자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차별화된 상품을 선보여왔다"며 "이러한 차별화된 상품 라인업을 바탕으로 앞으로 운용자산 1000억달러, 그 이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혁신·글로벌경영부문 총괄 대표인 김영환 사장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글로벌 ETF 시장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기반으로 미국을 넘어 글로벌 곳곳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엑스의 브랜드 가치를 강화하고 새로운 혁신 성장을 위한 전략적인 비즈니스를 펼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글로벌 ETF 순자산 1270억달러…인도·호주·캐나다에서도 맹활약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국내 시장에만 국한하지 않고 세계 시장을 상대로 거래하는 '글로벌 플레이어'로 활약하고 있다.
특히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철저한 현지화를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박 회장은 지난해 12월 인도 현지 증권사 쉐어칸(Sharekhan Limited)을 인수하며 '글로벌 사업 확장'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 결과 지난달 기준 인도법인의 총 운용자산 규모는 30조원으로 인도 현지 운용사 가운데 9위 수준을 기록했다. 이 밖에도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영국 ETF 유동성 공급업체인 GHCO, 호주 인공지능(AI) 로보어드바이저인 스톡스팟 등을 인수하며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여 나가고 있다.
그 결과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 ETF 총 순자산은 6월말 기준 1270억달러(175조원)를 돌파했다. 이는 현재 국내 전체 ETF 시장(156조원)보다 큰 규모로, 호주 Global X Australia(글로벌엑스 오스트레일리아)의 총 운용자산은 50억달러를 돌파했으며, 'Global X EU(글로벌엑스 유럽)'과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도 10억달러를 넘어서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Horizons ETFs'에서 'Global X'로 새롭게 출범한 'Global X Canada(글로벌엑스 캐나다)'도 총 운용자산 250억달러를 기록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