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임경수 교수의 라이프롱 디자인] 평생교육 정책이야기

임경수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수/성인학습지원센터장

평생교육이야 태초에 사람들이 생겨나면서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다. 사람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에 관해 터득한 기술과 지식을 가르치고, 또 배웠을 것이다. 부모에게서 자식으로, 또 후대에 걸쳐 가르치며 인격을 길렀으니 평생교육이야말로 인간의 모든 여정이라 하겠다.

 

평생교육은 오래되어 묵은 것이지만 그 것을 정책으로 만들기 시작한 것은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다. 프랑스혁명이 발단이니까 그 해인 1789년을 기억해두어도 괜찮겠다. 모든 연령에 걸쳐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콩드세르의 교육개혁법안이 서막을 열었다.

 

1929년엔 드디어 익슬리(Yeaxlee)의 라이프롱 에듀케이션(Lifelong Education, 평생교육)이 출간되면서 평생교육의 이정표가 세워졌다. 생을 위한(for life), 생을 통한(through life), 전 생애에 걸친(throughout life) 교육이라는 3가지 표제가 여기서 각인되었다.

 

이를 풀어보면 평생교육정책은 ①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며 ②가정·직장·사회의 실생활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이며 ③나이와 성별, 사회적 지위에 상관 없이 일생 동안 교육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발화한 평생교육은 유네스코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가 쌍벽을 이루며 정책 생산의 장이 된다. 먼저 유네스코는 1965년 랑그랑 보고서를 발표하여 평생교육의 국제적 통용을 이끌더니 1972년 포르 보고서에 이어 1996년 들로르 보고서를 공표하면서 평생교육정책을 선도하였다.

 

전 세계 대표급의 교육정책 수장(우리나라의 교육부 장관도 참여)들이 공동집필자로, 그 시기 유네스코 의장이었던 포르와 들로르가 각각 대표 집필자로 참여했다. 포르 보고서가 '존재를 배우기(Learning to be)'라면, 들로르 보고서는 '학습은 우리 안의 보물(Learning: The Treasure Within)'이라는 타이틀이다.

 

마침 1996년 1월 16일과 17일엔 OECD가 회원국의 장관급 교육위원회 회의를 열어 '모두를 위한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For All)' 보고서를 세상에 내놓은 후였으니 유네스코의 들로르 보고서는 OECD에 한 발 뒤처진 셈이다.

 

유네스코의 정책노선은 평생교육이 단순히 지식 전달을 넘어서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조화를 이루도록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이에 비해 OECD는 평생학습을 통해 기술과 역량을 개발하여 경제적 경쟁력을 강화할 것을 꾀했고, 개인과 사회가 함께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드는 걸 정책노선을 삼았다.

 

두 가지 정책노선은 고스란히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쳐 한국의 평생교육정책을 탄생시키는, 큰 역할을 했다. 1999년 우리나라는 사회교육법을 평생교육법으로 전부 개정하고, 2000년 밀레니엄시대에 들어서 곧바로 "모든 국민은 평생교육의 기회를 균등하게 보장받는다"는 이념의 평생교육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그 동안 평생교육은 학교의 정규교육과정을 제외한 학력보완교육, 성인 문해교육, 직업능력 향상교육, 성인 진로개발역량 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문화예술교육, 시민참여교육 등 7대 영역에 이르는 조직적인 교육활동이라는 정의도 확립하였다.

 

모두 다섯차례에 걸쳐 5개년의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이 추진되었고, 그 사이 평생교육정책은 장애인 평생학습도시와 평생교육바우처에서 읍·면·동 평생학습센터와 노인평생교육시설까지 확대되었다. /임경수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수/성인학습지원센터장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