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외국인 급증해 2023년 국내 총인구 3년 만에 증가 전환

65세이상 노인인구 중 증가폭 1위는 85세이상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뉴시스

 

 

국내 외국인 거주민 수가 늘어나면서 총인구가 이른바 반등했다는 집계가 나왔다. 내국인 인구가 감소한 반면 외국인 인구가 큰 폭으로 증가해 총합이 플러스로 전환했다. 한편,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에서도 특히 85세 이상의 증가폭이 가장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또 65세 이상 중 홀로 거주(1인가구)하는 인구가 200만 명을 넘어섰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가 8만 명이 늘면서 3년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내국인은 10만 명 줄었으나 외국인이 18만 명 늘어났다.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는 5177만 명으로 지난 2022년(5169만 명)에 비해 0.2%(8만 명) 증가했다. 내국인 수는 4984만 명으로 전체의 96.3%을 차지했다. 외국인 인구 비중은 3.7%(194만 명)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고용허가제 규모가 대폭 늘면서 외국인 채용 규모가 많이 늘었다"며 "그런 영향도 인구에 포착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지난해 65세 이상 내국인 고령인구는 950만 명으로 전년대비 5.0% 증가했다. 2년 전인 2021년 862만 명이었던 고령인구는 2022년 900만 명(905만 명)을 돌파한 후 1년 만에 45만 명 더 늘어났다.

 

고령인구 중 65~74세가 전체 고령인구의 58.2%로 가장 많다. 이어 75~84세 31.3%, 85세 이상이 10.5% 순이다. 지난 2022년에 증가폭은 85세 이상에서 7.3%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65~74세가 5.2%. 75~84세가 3.8% 늘어났다.

 

일반가구 중 고령자가 있는 가구 수는 681만으로 전년대비 5.0%(32만5000 가구) 늘었다.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일반가구의 30.9%, 고령자 1인가구는 9.7%를 차지했다. 두 비중 모두 역대 최대를 보였다.고령자만 있는 가구(65세 이상 2인 이상)는 17.0%를 기록했다. 고령인구 1인가구 수는 213만 개로, 역대 처음 200만대에 진입했다. 이렇듯 국내에 혼자 거주하는 노인 수는 2018년 기준 144만 명에서 불과 5년 만에 69만 명 늘어났다.

 

외국인을 포함한 고령인구는 961만 명을 기록했다. 국내 총인구의 18.6%에 달한다. 반면 유소년인구와 생산연령인구는 본격적 감소 추세에 있다. 유소년인구(0~14세)는 지난해 562만 명,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3655만 명을 기록했다. 총인구 중 유소년인구 비중은 10.9%, 생산연령인구는 70.6%, 고령인구는 18.6%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유소년인구는 24만1000명(-4.1%), 생산연령인구는 14만 명(-0.4%) 감소했다. 반면 고령인구는 46만2000명(5.1%) 증가했다. 2018년 대비 생산연령인구 비율은 2.3%포인트(p)(-108만5000명) 감소했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171.0으로 2022년과 비교해 14.9 올랐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유소년인구는 15.4로 0.6 내린 데 반해 노년부양비는 26.3으로 1.4 올랐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