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우리투자증권 "10년 내 '초대형 IB'로 도약…2조원 계열사 공동펀드로 우량PF 투자 확대"

5일 출범 후 첫 기자간담회 개최
2026년까지 고액 자산가 3만명 모을 것
2028년까지 운용자산 15조원 목표

우리투자증권은 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TP타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비전 및 중장기 전략 방향을 발표했다. (왼쪽부터) 김진수 경영기획 본부장(상무), 이위환 리스크관리 부문장(전무), 남기천 우리투자증권 대표이사, 양완규 투자은행(IB) 부문 부사장, 박기웅 세일즈앤트레이딩(S&T) 부문 부사장, 심기우 리테일 부문 부사장/손진영 기자

우리투자증권이 2조원 규모 계열사 공동펀드를 통해 우량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남기천 우리투자증권 대표는 5일 서울 영등포구 TP타워에서 개최한 우리투자증권 출범 기자간담회에서 회사 청사진과 중장기 전략 방향을 발표했다.

 

우리투자증권은 출범 5년 차에 연간 자기자본이익률(ROE) 10%, 10년 내 자기자본 5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남 대표는 "계열사 공동펀드를 활용해 IB 영업에 집중해 이른 시일 내 초대형 IB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투자증권은 우리금융그룹이 10년 만에 가지게 되는 증권사로서 자본시장 내에서 우리금융그룹의 시너지를 창출하고 주도하는 핵심 계열사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현재 우리투자증권은 '기업과 개인에게 종합적인 금융서비스 체계를 갖춘 초대형 IB'라는 청사진을 이루기 위해 ▲IB ▲S&T ▲리테일(주식중개 및 자산관리) 등 각 부문 간 균형 잡힌 사업모델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남 대표는 "'기업금융 명가 재건'을 위해 'IB 역량'을 강화하겠다"며 우리은행, 우리벤처파트너스 등 그룹사와 협력해 스타트업부터 중소·중견기업, 대기업에 이르는 '기업 생애 주기별 토탈 금융 설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도 전했다. 우리투자증권은 기존 포스증권의 리테일 펀드 판매와 우리종합금융의 IB 업무를 지속 확장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최대 2조원 규모의 계열사 공동펀드를 조성해 우량PF에 투자하는 등 그룹 차원의 시너지도 창출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회사채 주관 및 인수 기회 선점 ▲PE 초기 자본 투입으로 주관권 확보 ▲실물 부동산 프로젝트 투자 등 IB 영업을 활성화해 그룹사 고객에게 다양한 금융상품을 공급한다는 구상이다.

 

우리투자증권이 발행어음과 계열사 공동펀드를 통해 운용 가능한 영업가용 자본은 약 4조원 수준으로 다른 초대형 IB에 준하는 영업자본 규모다. 우리투자증권은 이를 기반으로 증권시장 내 고속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올 연말 출시 예정인 은행 '뉴 원(New WON) 뱅킹'과 증권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연결하는 슈퍼앱 구축도 추진 중이다.

 

이 밖에도 S&T부문과 리테일 부문 목표도 제시했다. 박기웅 S&T부문 부사장은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시장 조성자로 성장해 2028년까지 운용자산 15조원을 달성할 계획"이라며 "출범 초기에는 RP, CMA 등 국내 상품 기반 S&T 역할 재정비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심기우 리테일 부문 부사장은 "기존 펀드슈퍼마켓 기능에 주식, 채권 중개가 가능한 종합 자산관리 플랫폼으로 고도화해 고액자산가 3만명, 고객자산 43조원을 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우리투자증권은 자기자본 확충을 위해 추가 M&A나 유상증자 등도 추진할 방침이다. 남 대표는 "2~3년 안에 2차 M&A를 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며 "예탁자산 등 우리투자증권이 단기적으로 확충할 수 없는 부분을 보완해 주면서 시너지를 불러올 수 있는 회사였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리투자증권은 연내에 MTS를 공개할 예정이며, 초고액자산가를 위해서는 기존 오프라인 점포를 프라이빗뱅킹(PB) 영업의 거점 센터로 활용해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비대면 거래 활성화를 위해 지점 영업 확장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언급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