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식품업계의 이유있는 자사몰 육성…풍성한 쇼핑경험 매출 증대로 이어져

Cj더마켓, 오뚜기몰, 프레딧/각사 홈페이지 캡처

비대면 쇼핑의 일상화로 온라인 식품 구매 수요가 늘면서 식품업계가 자사몰 육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을 통한 식품 거래액은 40조6812억원에 달한다. 거래액은 2019년 17조원에서 코로나19를 거치며 2021년 31조2476억원으로 30조원을 넘어선 뒤 지난해에는 40조원을 돌파하며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을 살펴봐도 온라인 식품 구매 매출액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 6월 6일 기준 온라인 유통업체의 매출 중 식품 비중은 27.5%로 전체 상품군 중 가장 높았다. 집밥 수요 급증으로 식품 분야 온라인 매출이 오른 것으로 산업부는 분석했다.

 

온라인 식품 구매가 늘면서 업계는 자사몰에서 취급하는 상품을 늘리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강화하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했다. 그리고 그 결과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CJ제일제당은 2019년 7월 자사 직영몰이었던 'CJ온마트'를 리뉴얼한 'CJ더마켓'을 오픈하고, 소비자 편의성에 최적화된 다양한 콘텐츠와 맞춤형 서비스 등을 선보이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내일도착 서비스를 도입해 배송 경쟁력을 확보했으며, 'the프라임' 멤버십 가입비 인하 및 '더세페(더마켓 세일 페스타)'·'더프페(더마켓 프레시 페스타)' 등의 대규모 할인 프로모션을 확대하고 소비자 편의성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CJ더마켓만의 차별화 경쟁력으로 전체 누적 회원 수는 380만명(6월 말 기준)을 돌파했으며, 멤버십 'the프라임'의 회원 수도 약 13만명에 달한다.

 

오뚜기는 현재 오뚜기몰에서 카레, 케챂, 마요네스, 라면, 컵밥, 가정간편식(HMR) 등 1200여 종 이상의 제품을 취급하고 있다. 매달 출시되는 오뚜기 신제품을 가장 먼저 만나볼 수 있으며, 제품 낱개 구입으로 장바구니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오뚜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오뚜기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 구매 건수도 같은 기간 40% 늘었다.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맞춰 상품군을 다양화하고, 서비스를 개선해 이용자 편의성을 높인 것이 매출 증대에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즐겁게 건강을 관리하는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 열풍에 따라 온라인 전용 브랜드 '가뿐한끼', '컵누들' 등 열량 부담을 낮춘 제품 매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오뚜기 '가뿐한끼'는 올해 상반기 자사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0% 증가했다. 다양한 맛과 낮은 칼로리로 꾸준히 사랑받는 컵누들류 매출은 같은 기간 81% 늘었다. 창립 제품인 '카레' 매출은 동기간 56% 상승했다.

 

hy도 최근 온라인몰 프레딧의 상반기 결산 데이터를 통해 운영 성과를 발표했다.

 

프레딧은 2020년 12월, 기존 온라인 플랫폼 '하이프레시'를 재론칭한 자사몰이다. 2021년 2월 회원 수 100만명을 넘어선 후 3년 5개월 만에 200만명을 달성하며 빠르게 성장했다.

 

상반기 1인당 최다 구매 횟수는 466회이며, 누적 최대 구매 금액은 2042만원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방문자 수도 크게 늘었다. 2021년 3만 2000명 수준이었던 것이 지난해 6만 1000명으로 약 8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월 평균 매출과 정기배송 고객 수는 각각 102%, 152% 신장했다.

 

식품 업계가 자사몰을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D2C를 강화하는 이유는 중간 유통단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무엇보다 제조사와 유통사(플랫폼) 간의 가격결정권 다툼에 휘말일 일이 없다. 또, AI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고객 데이터를 정교하게 분석하면 할수록 더 개인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 맞춤형 제품을 추천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식품업계 자사몰은 임직원들만 이용하는 비공식몰에 가까웠지만, 현재는 가입 고객에게 차별화한 소비 경험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거듭났다"며 "정기구독, 유료 멤버십 등을 통해 충성 고객을 확보하고, 더 나은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