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간밤에 암퇘지 새끼 뱄으려나'...AI 판별 기술 한국이 세계 최초 개발

비전문가도 쉽게 활용
생산성 향상·사료비 절감

/농진청

 

 

돼지가 새끼를 뱄는지, 아닌지 인공지능(AI)을 도입한 기술을 통해 알 수 있게 됐다.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이 기술을 통해, 전문가가 아니어도 돼지 암컷의 임신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7일 AI 기술을 활용해 비전문가도 빠르고 정확하게 돼지의 임신 여부를 판정하는 '인공지능 활용 돼지 임신판정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돼지의 임신 여부는 관리자가 인공수정 후 21일령부터 암컷의 행동을 관찰한다. 이어 태낭(아기주머니)이 잘 보이는 25일령 이후 자궁 초음파 영상을 판독해 확인한다. 그러나 초음파 영상 판독은 관리자의 숙련도에 따라 임신 판정 가능 시기와 정확도가 크게 좌우될뿐더러 비전문가의 경우 28일령 이후에나 임신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연구진은 20만 점 이상의 고화질(5MHz) 자궁 초음파 영상 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학습을 수행했다. 또 임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연산 방식(알고리즘)을 적용한 인공지능 모형을 만들었다. 아울러 양돈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저화질(3MHz) 자궁 초음파 영상 23만 점을 수집해 저화질 영상 개선 기술을 적용하고, 인공지능 모형을 학습시켜 농가 보급형 돼지 임신 판정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초음파 장비로 어미돼지 복부 초음파 영상을 10초 이상 찍은 다음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면 임신 여부를 인공지능이 판정해 알려준다. 인공수정 후 22~25일령 기준으로 95%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다고 농진청은 밝혔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영농후계자, 외국인 근로자 등 비전문가도 돼지 임신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판정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은 데다 정확도가 높다. 잦은 인력 교체나 전문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의 업무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임신 판정 시기가 빨라지면 그만큼 임신한 돼지의 건강관리 기간이 늘어나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며 "특히 임신하지 않은 돼지는 재 인공수정을 통해 비생산일수를 줄일 수 있어 사료비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농진청은 '인공지능 활용 돼지 임신 판정기술'과 관련해 3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희망 업체를 대상으로 기술이전 할 계획이다. 또 인공지능 모형을 고도화해 돼지의 발정주기 이전 시점인 임신 18∼21일령에 95% 이상의 판정 정확도를 확보할 계획이다. 현장 실증에 참여한 디디팜 농장(경기 연천 소재)의 이창번 대표는 "외국인 근로자 등 비전문성 인력이 자궁 초음파 영상을 판독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었는데, 이 기술은 쉽고 안정적으로 임신 판정이 가능해 큰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농진청은 임신 판정 외에도 어미 돼지 체형관리, 아기 돼지 위험 감지 등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향후 생산성을 높이고 사육 비용은 줄일 수 있는 스마트팜 기술을 확대해, 양돈농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