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배터리 제조사 정보 공개에 나서고 있지만 전기차를 둘러싼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좀처럼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지난 8월 1일 발생한 인천 청라동의 벤츠 전기차 화재에 이어 국내 전기차 판매량 1위 업체인 테슬라 차량에서도 정차 후 차량에서 불이 나면서 '전기차 포비아'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지난 17일 포르투갈 리스본에서는 테슬라 전기차가 주차장서 불이 나면서 200여대 이상 전손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을 돌파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있는 완성차 업체들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꺼지지 않는 불…피해 규모 예측 불가
전기차 화재는 '열폭주' 현상을 동반해 단시간에 1000도 이상 고열로 치달을 수 있다. 또 전기차 배터리 팩이 방수·방진 처리돼 있어 화재 진화가 어려운 만큼 불을 끄기도 어렵다. 이 때문에 피해도 기하급수적으로 확산된다.
지난 1일 인천 청라동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세워둔 벤츠 전기차가 폭발하면서 주변 차량 140여대가 불에 타고 주민 120여명이 대피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그러나 피해접수처 운영 결과 부분소 45대와 그을음 793대 등 피해 차량 수는 880대까지 늘었다.
지난 16일에는 경기 용인시 기흥구 고갈동 도로에 세워져 있던 테슬라 모델X에 배터리 열폭주로 인한 화재가 발생했다. 다행히 사고 차량은 주차장이 아닌 노상에 주차하고 있던 상태였다. 현장에 출동한 소방 당국은 소방대원 50여 명과 펌프차 등 장비 20여 대를 투입해 진화에 나섰다. 신고 접수 3시간 10여분 만인 오후 10시 57분께 큰 불길을 잡았으며 오후 11시 53분께 완전 진화에 성공했다. 인명 피해는 없었으나 사고 차량은 전소됐다.
또 포르투갈에서도 테슬라 차량 화재로 대규모 피해가 발생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지난 17일 포르투갈 인터넷 언론인 '포르투갈 레지던트'에 따르면 포스투갈 리스본의 움베르토 델가도 공항 근처 렌터카 회사 주차장에서 테슬라 전기차의 차량 화재로 200여대의 차량이 파손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차량 화재는 4시간 넘게 지속됐으며 짙은 검은 연기 기둥으로 인해 항공편이 지연되기도 했다. 다행히 차량 화재로 인한 부상자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화재는 진압이 쉽지 않아 전소되는 경우가 많다"며 "전기차 배터리는 한번 불이 붙으면 대형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핵심 부품 정보 공개…소비자 신뢰 확보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국내 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해 전기차 배터리 정보를 잇따라 공개하고 있다.
현대차는 차종별로 구형 아이오닉, 1세대 코나 일렉트릭, 캐스퍼 일렉트릭은 LG에너지솔루션 제품이, 아이오닉5, ST1, 포터 EV에는 SK온 배터리가 들어갔다. 아이오닉6의 경우 2022년 7월부터 작년 5월까지 생산된 차량은 SK온, 이후 차종은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사용했다. GV60, GV70·G80 전동화 모델 등 제네시스 전기차는 모두 SK온 배터리였다. 기아는 신형 레이 EV와 니로 EV만 중국 CATL 배터리를 썼고 나머지 차종은 모두 SK온,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 업체 제품을 적용했다.
KG모빌리티는 토레스 EVX와 EV 모델 모두 중국 BYD 배터리를 넣었다. 르노코리아의 경우 SM3 Z.E., 트위지, 조에 모두 LG에너지솔루션 제품이었고, 한국GM이 판매하는 쉐보레 볼트EV와 EUV도 모두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가 들어갔다.
수입차 가운데 폭스바겐, 아우디, 포르쉐 등이 속해 있는 폭스바겐그룹은 전량 국산 배터리를 채용해 눈길을 끌었다. 폭스바겐 1종, 아우디 14종, 포르쉐 1종 등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모든 폭스바겐그룹 전기차는 LG에너지솔루션 또는 삼성SDI 배터리로 확인됐다.
BMW는 iX1, iX3, iX Xdrive40만 중국 CATL이었고, 최고급 전기 세단 i7을 비롯한 나머지 10종의 전기차는 전량 삼성SDI 배터리를 사용했다. 롤스로이스 스펙터는 삼성SDI 배터리를, 볼보자동차가 판매한 전기차 2종도 모두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넣었다. 폴스타는 폴스타 2에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장착했고, 폴스타 4에는 CATL 배터리를 사용했다.
메르세데스-벤츠 7종의 전기차 중 2종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배터리가, 나머지 5종에는 중국 CATL 및 파라시스 배터리가 탑재됐다. 인천에서 화재가 발생한 EQE 차종을 비롯해 EQS에는 CATL 또는 파라시스 배터리가 사용됐다. 그동안 자료를 공개하지 않았던 테슬라도 국토교통부에 자료를 제출했다. 테슬라 모델3와 모델Y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일본 파나소닉, CATL 배터리가 탑재됐다. 모델X와 모델S에는 파나소닉 배터리만 사용됐다.
현대차·기아, 벤츠 등 전기차 제조사들은 안정성 확보를 위해 특별 무상점검에 나선다. 전기차 무상 특별 안전점검의 경우 현대·기아와 벤츠는 전기차 무상 특별 안전검점을 13일부터 진행중이며 볼보는 19일부터, 테슬라, BMW, 르노, KG모빌리티는 이달 중 실시 예정이다. 폭스바겐은 연중 상시 무상점검을 진행 중이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