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푸드

식품기업 글로벌 의존도↑ 호실적 요소는?

식품회사들의 글로벌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과거 '내수 기업'으로 평가받던 식품업계가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에서 벗어나기 위해 해외 사업을 강화한 덕에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난 것. 해외 사업으로 상반기 호실적을 기록한 기업들은 수출과 고수익 제품에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양식품 제품 라인업/삼양식품

◆수출 비중 확대로 환율 차익 실현

 

18일 <메트로경제> 취재를 종합해보면, 라면 업계에서는 '불닭볶음면'으로 해외에서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삼양식품이 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삼양식품은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4244억원, 영업이익 89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8.7%, 영업이익은 103.2% 증가한 금액이다.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던 직전 분기 대비로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0%, 11.6% 늘었다.

 

특히 삼양식품 해외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74.9% 증가한 3321억원을 기록, 사상 처음으로 3000억원을 돌파했다.

 

삼양식품 라면이 가장 잘 팔리는 지역은 미국이다. 미국 법인인 삼양아메리카는 '까르보불닭볶음면' 인기를 바탕으로 올해 2분기에 7140만달러의 매출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무려 125% 증가한 금액이다. 국내보다 수익성이 좋은 해외사업 호조에 힘입어 삼양식품의 전체 영업이익도 호실적을 기록했다.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03.2% 증가한 894억원을 기록했다.

 

불닭볶음면 SNS 화면 캡처/삼양식품

삼양식품이 호실적은 낸 데에는 수익성이 높은 해외 사업 비중이 내수보다 훨씬 큰 데다 수출로 인한 환율 차익까지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삼양식품 전체 매출에서 해외가 차지하는 비중은 78%까지 확대됐으며 국내 생산 제품을 수출하는 방식을 채택해 환율 차익 수혜도 누렸다.

 

CJ제일제당 CI

◆고부가가치 품목 확대

 

CJ제일제당은 올해 2분기 매출 4조3314억원, 영업이익 269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14.1% 증가하면서 질적 성장을 이뤘다. (이상 대한통운 제외 기준)

 

해외 식품 사업 매출이 1조3244억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유럽의 경우 주요 유통채널에 입점하면서 매출이 57% 증가했다.

 

눈길을 끄는 점은 바이오사업부문의 수익성 개선이다. 수익성 극대화 전략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품목 판매를 확대해 매출은 1% 증가한 1조564억원, 영업이익은 17.4% 증가한 990억원을 기록했다. 트립토판과 스페셜티 아미노산 등 소재 매출이 크게 오른 것으로 회사는 분석했다.

 

대상 역시 바이오 소재 수요 증가에 따라 호실적이 예상된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대상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3.8% 증가한 1조416억원, 영업이익은 47.4% 늘어난 496억원으로 예상된다. 전분당 및 바이오 스페셜티 제품 실적 성장에 따른 것이다. 대상은 향후 전사적 원가 절감과 경영 효율화 활동을 이어가고, 판촉 자원의 효율적 재배치, 맞춤 상품 확대 등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마트에 빼빼로가 진열되어 있는 모습/뉴시스

◆제과업계, 주력 제품 투자·마케팅으로 성장가도

 

롯데웰푸드의 2분기 매출은 1조442억원, 영업이익은 633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6% 감소했지만, 글로벌 매출이 5.6% 증가했다. 특히 주력 제품인 빼빼로의 수출액이 눈길을 끈다. 올 상반기 빼빼로 수출액은 약 325억원으로 국내 매출액을 넘어섰다. 지난해 전체 수출액은 540억원으로 롯데웰푸드는 빼빼로의 글로벌 마케팅 지속과 주요 유통 채널 입점에 힘쓰고 있다. 스낵의 본고장인 미국에서 다양한 마케팅을 강화하고 인도 현지에 신규 생산설비를 증설하는 등 글로벌 종합식품기업으로의 도약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오리온 제품 라인업/오리온

오리온은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 1조4677억원, 영업이익 2468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작년 상반기와 비교해 매출은 6.5%, 영업이익은 16.8% 증가한 수치다. 제품 경쟁력 강화와 채널별 차별화된 영업활동에 집중해 매출 성장세를 이뤘다고 회사는 분석했다. 특히 중국과 베트남 법인의 영업이익이 각각 23.1%, 16.2% 성장하면서 전체 영업이익 증가에 크게 기여했다.

 

오리온은 각국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춘 신제품을 개발해오고 있다. 중국에서는 '토마토맛 오감자', '꼬북칩 마라새우맛'을 출시했고 베트남에서는 현지 사정에 맞춰 쌀과자와 아침대용 빵 등을 개발했다. 차와 케이크를 함께 먹는 문화가 발달한 러시아에서는 라즈베리, 체리 등 잼을 활용한 초코파이를 선보였다.

 

업계 관계자는 "식품회사가 수익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해외 사업 확대는 필수가 되었다"며 "국내에서는 가격 조정이 쉽지 않고 판매량도 한계가 있지만, 해외에서는 높은 가격에 대한 거부감이 덜하고 K-푸드 수요도 늘고 있는 상황이어서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